뷰페이지

“사죄 없이 떠난 전두환, 재산 환원하라”…5·18 단체 빈소 시위

“사죄 없이 떠난 전두환, 재산 환원하라”…5·18 단체 빈소 시위

곽혜진 기자
입력 2021-11-25 15:04
업데이트 2021-11-25 15: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군부 부정축재 환수특별법 제정 요구하며 행진

이미지 확대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전두환 전 대통령 빈소에서 조문하고 있다. 2021.11.24 뉴스1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이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된 고 전두환 전 대통령 빈소에서 조문하고 있다. 2021.11.24
뉴스1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회 서울지부 등 5·18 관련 단체들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빈소가 차려진 신촌세브란스병원 인근에서 사죄 없이 떠난 전씨를 규탄하는 집회를 열었다.

5·18 민주화운동 부상자회 서울지회, 5·18 구속부상자회 서울지부, 5·18 서울기념사업회, 삼청교육대 피해자 전국연합 등 11개 단체는 25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정문 앞에서 장례식장까지 10여분 동안 행진했다.

참가자 20여 명은 ‘광주는 폭도, 삼청은 깡패. 억울해서 못 살겠다’, ‘사기정치 80년 쿠데타범 추모관 철거하라’ 같은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었다. 이 과정에서 보수단체 회원으로 보이는 한 여성과 언쟁 잠시 있었지만, 물리적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들은 장례식장 앞에 도착해 기자회견을 열고 “이제라도 전두환 유족은 5공 피해자들에게 사죄하고 불의한 재산을 피해자와 대한민국에 환원하라”고 촉구했다.

이어 “피해자들에게 일말의 사죄도 하지 않은 채 반성 없이 잘못 주어진 사면의 열매만 누리던 전두환은 학살자로서 지옥의 심판이 기다리는 저승으로 떠났다”며 “이제라도 국민을 탄압해 얻은 불의한 대가는 피해자와 국민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씨는 1997년 12·12 군사반란 및 5·18 관련 내란죄 유죄 판결로 추징금이 확정되자, 314억원만 납부한 뒤 “전 재산이 29만원”이라며 완납을 미뤘다. 2013년 본격 환수가 시작된 뒤 검찰은 지난해까지 추징금 1235억원을 집행했다. 올해는 가족 명의의 임야 공매 낙찰가 10억여원 등 모두 14억원을 추가 환수했다.

서울중앙지검 범죄수익환수부는 “23일 기준 전체 추징금 2205억원 중 1249억원(57%)을 집행했고 미납 추징금은 956억원(43%) 남아 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5공 피해자 11개 단체 회원들이 25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앞에서 ‘사죄없는 역사의 죄인 전두환을 규탄한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11.25 뉴스1
5공 피해자 11개 단체 회원들이 25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 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앞에서 ‘사죄없는 역사의 죄인 전두환을 규탄한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21.11.25 뉴스1
이들은 5공 인사들에 대해서도 “5·18역사왜곡처벌농성단 활동을 통해 허화평, 허삼수, 장세동, 이희성, 정호용 등 신군부의 실세들이 하나같이 대저택에서 수십년간 부와 권력을 누려온 것을 새삼 확인했다”고 비판했다.

또 “유족은 지금이라도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인 노재헌에게 배워 5공 피해자들과 국민 앞에 무릎 꿇고 사죄하기를 촉구한다“며 ”역사 앞에 사죄할 마지막 기회를 저버린다면 국회에 당장 ‘전두환 등 신군부 부정축재 환수특별법’을 제정하라고 외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법은 20대 국회 당시 천정배 전 의원이 발의했으나 회기 종결로 자동 폐기된 바 있다.

5·18 단체들은 오는 27일 전씨 발인 때까지 시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