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선주자 호감도 이재명 34% 1위…윤석열 30%·홍준표 28%

대선주자 호감도 이재명 34% 1위…윤석열 30%·홍준표 28%

이보희 기자
입력 2021-09-17 11:26
업데이트 2021-09-17 11: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낙연 24%로 4위
‘정권교체’ 바람에도 양자 가상구도 팽팽

이재명 윤석열 홍준표
이재명 윤석열 홍준표 연합뉴스, 서울신문 DB
여야 주요 대선주자 4인 호감도는 이재명 경기도지사 34%, 윤석열 전 검찰총장 30%,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28%,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24% 순으로 나타났다.

17일 여론조사 전문기업 한국갤럽은 지난 14~16일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이들에 대한 호감 여부를 조사한 결과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지사에 대한 호감도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65%), 진보층(57%), 40대(49%)에서 상대적으로 높다. 같은 당 소속 이 전 당대표에게 호감간다고 답한 사람 가운데 ‘이재명 호감·비호감’ 의견은 각각 40%와 54%로 나뉘었다.

윤 전 총장에 대한 호감도는 국민의힘 지지층(64%)과 보수층(54%) 등에서 높았다. 같은 당 소속 홍 의원에게 호감간다고 답한 사람 셋 중 한 명만 윤 전 총장에게 호감을 보였다. 한국갤럽은 “두 사람의 대중 이미지가 상당히 이질적이라고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홍 의원은 이번 조사대상 4인 가운데 유일한 실제 대선 출마 경험자로 지난 대선 직전인 2017년 3~4월 호감도는 10% 엿지만 올해 3월 20%, 9월 28%로 급상승했다.

홍 의원에 대한 호감도는 국민의힘 지지층(41%), 보수층(36%)에서 비교적 높고 남성(38%)과 여성(19%) 간 차이가 상당히 크다. 특히 20~30대 남성에서는 50% 내외, 40대 남성에서도 36%를 기록했지만 같은 연령대 여성에서는 그 절반에 못 미쳤다.

이 전 당대표에 대한 호감도는 광주·전라 지역(45%), 더불어민주당 지지층(44%), 진보층(39%)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다. 20~30대 여성의 호감도는 30%를 웃돌지만, 같은 연령대 남성에서는 10% 내외로 성별 차이가 큰 편이다.

같은 당 소속 이 지사에게 호감간다고 답한 사람 중에 67%가 이 전 당대표에 대해서는 호감가지 않는다도 답해 치열한 당내 경선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이 전 당대표는 최장수 국무총리로 재직 중이던 2019년 12울 대비 호감도 하락 폭이 매우 크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진보층에서 약 70%에 달했던 호감도가 2021년 8월 기준 40% 내외 수준으로 바뀌었다.

이들 4인에 대한 양자 가상대결 결과 모든 인물이 각각 40% 내외 지지를 얻고 격차가 5%포인트(p) 이내 백중세를 보였다.

먼저 ‘이재명 대 윤석열’ 구도에서는 이 지사가 43%, 윤 전 총장이 42% 지지를 얻었고, ‘이재명 대 홍준표’ 구도에서는 이 지사가 44%, 홍 의원이 39% 지지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낙연 대 윤석열’ 구도에서는 이 전 당대표가 40%, 윤 전 총장이 42% 지지를 얻었고 ‘이낙연 대 홍준표’ 구도에서는 이 전 당대표가 39%, 홍 의원이 40% 지지를 얻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갤럽은 “올해 들어서 정권교체론이 유지론을 6~21%포인트 앞섰음에도 여야 양자 가상 구도에서 여당 후보가 제1야당 후보와 비슷한 것은 범야권 규합이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이번 여론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해 조사원 인터뷰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