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박상익의 사진으로 세상읽기]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우석대 역사교육과 명예교수

입력 2021-09-14 20:24
업데이트 2021-09-15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대전 2021. 전운(戰雲)이 쌓이면 언젠가는 폭발한다.
대전 2021. 전운(戰雲)이 쌓이면 언젠가는 폭발한다.
1517년 루터의 종교개혁으로 유럽은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진영으로 양분돼 서로를 ‘사탄’이라고 비난하며 대립했다. 세계시민 에라스뮈스(1466~1536)는 극단적 갈등의 시기에 종교와 국경을 초월한 자유와 관용을 주장했다. 그에게는 교양과 정신적 귀족으로 이루어진 상위 세계, 그리고 천박과 야만이라는 하위 세계 두 세계만이 있었다. 그러나 중립이 불가능했던 시대에 그의 대의는 실패로 끝났다.

유럽연합은 1987년 국경·종교·언어를 초월해 유럽 전역을 다니며 학문을 연마했던 에라스뮈스의 이름을 따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대학생들은 재학 기간에 1∼2학기를 다른 나라 대학에서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게 됐다. 이 프로그램은 유럽연합의 실질적 통합에 가장 이바지한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개별 국가의 국민이 아닌 ‘유럽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갖게 되는 이 젊은이들을 ‘에라스뮈스 세대’라고 부른다. 통합 유럽의 주역들이다.

2014년에는 유럽연합 국가 간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에라스뮈스 플러스(Erasmus+)’ 프로그램(2014~2020)이 추가됐다. 독일은 올해 이 프로그램을 두 배 가까이 확대해 2021년부터 2027년까지 7년간 초중등학생, 대학생, 직업훈련생, 일반 학습자의 이동 지원을 위한 예산으로 260억 유로(약 35조원)를 사용할 계획이다. 모든 연령대 학습자들 간의 국제 교류를 통해 유럽의 통합과 평화를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동아시아에서도 같은 움직임이 있었다. 2009년 10월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3국 정상회담에서 당시 일본의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는 한중일 현안 해소를 위한 대학생 교류를 제안했다. 이에 따라 한중일 3국은 ‘동아시아판 에라스뮈스 프로그램’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2011년 10월에는 도쿄대에서 ‘제12회 베세토하 총장 포럼’이 열렸다. 서울대, 베이징대, 도쿄대, 하노이대 총장이 모여 ‘베이징·서울·도쿄·하노이’를 뜻하는 ‘베세토하’(BESETOHA) 도시의 대표 대학들이 공동 학위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대학생 교류를 통해 한국인·중국인·일본인이 아닌 ‘동아시아인’의 정체성을 만들어 내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2011년 이후 소식이 뚝 끊겼다. 국가 간 갈등의 골이 깊어 갈지라도 지식 사회는 한쪽에서 평화를 준비해야 하지 않겠는가.

2021-09-15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