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앤젤리나 졸리 “브래드 피트, 날 성추행한 인간과 일하며 기뻐했다”

앤젤리나 졸리 “브래드 피트, 날 성추행한 인간과 일하며 기뻐했다”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9-06 11:41
업데이트 2021-09-06 1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앤젤리나 졸리.  엠네스티 제공
앤젤리나 졸리.
엠네스티 제공
할리우드 배우 앤젤리나 졸리가 브래드 피트와 이혼한 배경과 관련해 성범죄자 하비 와인스타인 문제도 작용했다고 밝혔다.

졸리는 4일(현지시간)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공개한 인터뷰 기사에서 피트와의 이혼에 대해 “여전히 법적 분쟁 중”이라며 말을 아꼈지만 “피트와 사는 동안 우리 가족 전체가 두려웠다”고 말했다.

이혼과 관련한 질문이 나오자 졸리는 ‘비밀 준수’ 서약을 언급하며 조심스러워했지만, ‘아이들의 안전이 두려웠느냐’고 질문하자 “그렇다. 우리 가족 모두 그러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이혼은) 가볍게 내린 결정이 아니다”라며 “아이들 아빠와 떨어져야 한다고 느끼는 입장이 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이혼을 결심한 배경에 피트가 성범죄자 와인스타인과 일하기를 원했던 점도 꼽았다.

졸리는 앞서 와인스타인과 관련해 할리우드에서 ‘미투’ 폭로가 벌어졌던 2017년 10월 그 역시 와인스타인으로부터 피해를 당했다고 공개한 바 있다.

당시 졸리는 “1988년 영화 ‘플라잉 바이 하트’ 홍보 당시 와인스타인이 호텔 방에서 원치 않는 신체 접촉을 시도하려고 했다”고 고백했다.

졸리는 “와인스타인과의 경험은 끔찍했다”면서 “그 경험으로 인해 다시는 그와 함께 일하고 싶지 않았으며,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와 함께 일하지 말라고 경고했다”고 말했다.
하비 와인스타인과 브래드 피트
하비 와인스타인과 브래드 피트 AP 연합뉴스
할리우드 거물 제작자였던 와인스타인의 성 추문은 2017년 10월 뉴욕타임스 보도로 세상에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 30년간 수많은 무명 여배우는 물론 졸리를 비롯해 기네스 펠트로, 레아 세이두 같은 유명 여배우를 대상으로 성추행을 저질렀다. 그와 관련된 성추행 피해자는 배우들과 영화계 관계자들까지 100여명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와인스타인은 이 중 몇몇 혐의에 대해 인정하고 사과했지만, 졸리의 폭로에 대해선 부인한 바 있다. 그는 지난해 3월 강간 혐의로 징역 23년형을 선고받은 상태다.

졸리의 남편이었던 피트는 2009년 와인스타인이 제작한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에 출연한 바 있다.

문제는 2012년 와인스타인이 배급한 영화 ‘킬링 소프틀리(Killing Them Softly)’의 공동 프로듀서로 합류할 때였다.

졸리는 피트가 와인스타인의 실체를 알면서도 그와 일하고 싶어했다고 인터뷰에서 주장했다. 졸리에 따르면 피트는 ‘킬링 소프틀리’의 프로듀서가 되기 위해 와인스타인에게 접근했고, 이 일로 졸리와 피트는 갈등을 겪었다.

졸리는 “우리는 그 문제를 놓고 싸웠다”면서 “너무 마음이 아팠다”면서 “피트는 와인스타인이 내게 그런 짓을 했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와 함께 일하게 된 것을 기뻐했다”고 말했다.

졸리는 당시 피트가 제작하고 출연까지 한 ‘킬링 소프틀리’ 홍보 행사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했다.
이미지 확대
앤젤리나 졸리와 브래드 피트.  AP 연합뉴스
앤젤리나 졸리와 브래드 피트.
AP 연합뉴스
졸리와 피트는 2005년 영화 ‘미스터 앤 미세스 스미스’에 함께 출연하며 인연을 맺었고, 10년 가까이 사실혼 관계를 유지하다 2014년 결혼식을 올렸다.

그러나 2016년 9월 이혼 소송이 시작됐고, 2019년 4월 이혼은 법적으로 마무리됐지만, 양육권을 둘러싼 분쟁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이다.

졸리는 단독 양육권을 주장하고 있고, 피트는 공동 양육권을 요구하고 있다.

졸리의 주장과 관련해 가디언은 피트의 입장을 물었지만 피트 측은 답변을 거부했다.

졸리의 이번 인터뷰는 최근 저서 ‘네 권리를 알아라(Know Your Rights)’를 내놓으면서 이뤄졌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