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위안부 피해자에게 아직 광복은 오지 않았다

위안부 피해자에게 아직 광복은 오지 않았다

오세진 기자
입력 2021-08-11 21:00
업데이트 2021-08-12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故김학순 할머니 피해 첫 증언 30년

“日, 역사왜곡 멈춰라” 84개 단체 성명
신지예 “방식만 변했을 뿐 성착취 여전”

고 김학순 할머니
고 김학순 할머니
“요즘도 일본이 종군 위안부를 끌어간 사실이 없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을 때면 억장이 무너집니다.”

고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 8월 14일 국내 거주자로는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하지만 30년이 지난 지금도 일본 정부는 강제동원 역사를 부인하고 있다. 이에 정의기억연대가 김학순 할머니 공개 증언 30주년을 앞두고 일본 정부의 사죄와 법적 배상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11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504차 수요집회에서 “김학순 할머니는 ‘증거가 없다’는 일본 정부에 맞서 일본군 성노예제 피해자임을 당당히 밝히며 역사적 진실을 요구했다”면서 “일본 정부는 전쟁범죄를 인정하고 역사 왜곡을 중단하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성명서에는 국내 65개 단체와 일본, 미국, 필리핀 등 해외 19개 단체가 서명에 동참했다.

김학순 할머니의 공개 증언을 통해 국제사회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심각한 인권침해 문제로 인식하게 됐다. 강정숙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객원연구원은 “할머니의 공개 증언 이후로 국내의 다른 피해자들뿐만 아니라 중국, 필리핀, 대만,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의 피해자들이 자신의 피해 사실을 말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과거 일부 여성들에게 있었던 특수한 일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금도 일상에서 차별과 폭력에 시달리는 여성들의 현실과 연결해 바라봐야 한다는 것이다. 신지예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대표는 “여성의 성을 착취하는 방식이 바뀌었을 뿐 지금도 여성의 성을 착취하고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문화는 사라지지 않았다”며 “할머니의 증언을 지금 우리 사회에 여전한 성착취 구조를 지적하고 변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21-08-12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