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마솥 되는 한반도의 여름…48년 전보다 폭염·열대야 사흘 넘게 늘었다

가마솥 되는 한반도의 여름…48년 전보다 폭염·열대야 사흘 넘게 늘었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1-07-12 14:50
업데이트 2021-07-12 1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8년 전보다 최근 10년 폭염 3.9일, 열대야 3.3일 증가
폭염은 경상도 내륙, 열대야는 제주도 지역에서 잦아
장마 소강상태인 이번주 내내 전국 폭염과 열대야 전망

이미지 확대
연꽃 가득히
연꽃 가득히 장마가 소강상태에 들면서 무더위가 찾아온 9일 세종시 조치원읍 조천연꽃공원을 찾은 시민들이 활짝 핀 연꽃을 구경하며 오후를 보내고 있다. 2021.7.9/뉴스1
고온다습 북태평양고기압, 고온건조 티벳고기압 이불처럼 덮어 폭염발생

지난 한 주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를 뿌린 장마전선(정체전선)이 물러난 사이에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기상청 1개월 예측에 따르면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는 평년보다 다소 더운 날씨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까지 나왔다. 더군다나 최근 10년 동안 폭염과 열대야 발생일수는 과거 48년 평균보다 사흘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기상청이 12일 발표한 ‘최근 10년 폭염·열대야 분석’에 따르면 1973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48년 동안 평균과 비교했을 때 최근 10년(2011~2020년)의 폭염과 열대야 발생일수가 3~4일 정도 늘었다. 전국 평균값은 기상 관측망을 전국적으로 확충한 1973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 폭염은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열대야는 밤 동안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할 때이다.

폭염은 과거 48년 평균 10.1일에서 최근 10년 평균은 14.0일로 3.9일, 열대야는 5.7일에서 9.0일로 3.3일 늘었다. 또 최근 10년 동안 폭염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대구(27.6일)로 조사됐다. 그 다음은 합천(24.3일), 밀양(22.8일) 등으로 경상도 내륙에서 폭염현상이 자주 나타났다. 열대야는 서귀포가 31.0일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제주(29.9일), 포항(19.3일), 대구(18.5일), 부산(18.1일), 목포(16.5일) 등 제주도와 남부지역에서 자주 발생했다.

폭염일수가 가장 많아 무더웠던 해는 2018년으로 31.0일이었으며 1994년이 29.6일로 두 번째로 나타났다. 열대야는 1994년이 16.8일로 가장 길었고 2018년이 16.6일로 뒤를 이었다. 1994년과 2018년이 가장 무더운 해였다는 해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폭염과 열대야 상위 5위권에 해당하는 연도 중 3번이 2010년대 이후로 나타나 지구온난화로 인해 점점 더워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반도 여름철 무더위는 하층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이 자리잡은 상태에서 상층에 고온건조한 티벳고기압이 덮으면서 나타난다. 2018년에도 상층 10㎞에 위치한 티벳 고기압, 상층 5㎞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이례적으로 강하게 발달해 한반도까지 확장하면서 한반도 대기 상하층 모두 뜨거운 공기로 뒤덮이면서 폭염이 발생했다고 기상청은 분석했다.

한편 기상청은 12일 오전 10시에 대구, 대전, 제주도, 경상남북도, 전라남도, 충청남북도, 강원도, 경기도 일부지역에 폭염경보를, 제주산지, 강원남부, 전북 서부 일부를 제외한 전국에 폭염주의보를 발표했다. 폭염경보는 일 최고체감온도가 35도,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체감온도가 33도를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이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된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