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공무원 투기하러 헐값에 고향 뺏었나”… 세종 토박이들 부글부글

“공무원 투기하러 헐값에 고향 뺏었나”… 세종 토박이들 부글부글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21-04-11 20:32
업데이트 2021-04-12 0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갈 곳 잃은 행복도시 사람들의 분통

토지 수용된 주민 60%는 보상 1억 미만
타지 이주하거나 임대주택 생활고 겪어
산단 개발지엔 이익 노린 외지인들 ‘벌집’
“농사 못 지어 막막… 돈 있는 사람만 좋아”
이미지 확대
세종시 연서면 와촌리. 스마트국가산업단지 예정지로 세종시 공무원 가족이 토지를 매입하고 보상 극대화를 노린 벌집을 지어 주목을 크게 받았다.
세종시 연서면 와촌리. 스마트국가산업단지 예정지로 세종시 공무원 가족이 토지를 매입하고 보상 극대화를 노린 벌집을 지어 주목을 크게 받았다.
“나라에서 고향을 빼앗더니, 세종시가 공무원들의 부동산 투기장이 됐다. 너무나도 서글프다.”

지난 6일 세종시 장군면 충렬사에서 열린 유형(1566~1615) 장군 제향식에서 만난 임만수(76·연기향교 전교)씨는 “자기들(공직자, 권력자 등)끼리 부동산 상승효과는 다 챙기고 고향을 내준 원주민은 상처만 받고 있다”면서 “참, 괘씸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세종시의 아파트 값이 전국 최고 많이 올랐고 주변 땅값도 수십 배 올랐지만, 정작 세종시에 조상 대대로 터를 잡고 살던 원주민들은 갈 곳 없는 신세가 됐다. 엄청난 개발 이익은 모두 외지인이 독차지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세종시 스마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될 연서면 와촌리 소 축사에 산단 반대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주민들은 고향 떠나기가 두렵다고 했다.
세종시 스마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될 연서면 와촌리 소 축사에 산단 반대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주민들은 고향 떠나기가 두렵다고 했다.
11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세종특별본부에 따르면 세종특별자치시 465.23㎢ 중 72.9㎢가 신도시다. 중앙부처 이전 부지 등 신도시 사업 지역에 살던 원주민 2300여 세대가 고향을 떠나 타지로 이전했다. 임씨는 “1억원 미만 보상을 받은 주민이 60%에 이르고, 5억원 넘게 받은 원주민은 3%에 불과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했다.

보상금을 얼마 못 받은 원주민 450여 가구는 세종시 도담동 도램7단지 영구임대아파트 7, 8단지에 입주했다. 임완수(77)씨는 “일 가진 사람이 거의 없다. 몇 푼 안 되는 보상금을 까먹거나 자식들이 도와줘 먹고산다”고 귀띔했다. 그는 “‘행복아파트’라고 부르지만 여기 주민 대부분이 (이름처럼) 행복하지 않다”며 “고향에 살 때는 어려웠어도 밥을 나눠 먹고, 문 닫지 않고 살아도 되고 그랬는데…(고향 잃은 게) 한스럽다”고 말끝을 흐렸다. 또 최기현(75)씨는 2012년 고향인 세종시를 떠나 공주에 집을 마련했다. 하지만 적은 보상비 때문에 농사지을 땅은 부여에 샀다. 최씨는 “요즘 부여까지 매일 1시간씩 넘게 출퇴근을 하며 농사를 짓고 있다”면서 “그 좋은 논을 다 빼앗기고 타향에 와서 이 게 뭐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불평했다. 진의리 주민들이 농사를 짓던 드넓은 장남평야는 지난해 10월 국내 도심 최대 규모의 국립 세종수목원이 만들어졌다. 최씨는 “툭하면 고향 땅이 ‘얼마 올랐다’고 하고, 거기 들어온 공무원이나 고위층이 투기했다는 소식을 들으면 속이 터진다”면서 “세종신도시가 외지인만 배를 불려 줬다”고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세종시 유림들이 지난 6일 장군면 충렬사에서 옛 충남 연기군 때부터 지내온 유형 장군 제향식을 열고 있다. 상당수 신도시 원주민인 유림들은 옛 마을 이웃을 만나 향수를 달래는 기회로 여기기도 한다.
세종시 유림들이 지난 6일 장군면 충렬사에서 옛 충남 연기군 때부터 지내온 유형 장군 제향식을 열고 있다. 상당수 신도시 원주민인 유림들은 옛 마을 이웃을 만나 향수를 달래는 기회로 여기기도 한다.
고향을 빼앗기고 더러는 부초(浮草)처럼 떠도는 신도시 원주민의 현재는 개발을 앞둔 또 다른 세종시 원주민에게 두려운 미래다. LH 투기 사태 이후 세종시 공무원 가족이 투기해 주목을 받은 스마트국가산업단지 예정지 주민이 대표적이다. 연서면 와촌리로 접어들자 언론에 자주 나온 똑같은 모양의 흰색 조립식 주택(일명 ‘벌집’) 여러 채가 눈에 들어왔다. 마을에서 만난 김모 할머니는 “살기 좋은 고향 떠나면 농사도 못 짓고, 어떻게 사나”라면서 “불안해서 잠이 안 온다”고 하소연했다. 김 할머니는 “저 벌집은 주말에만 주인이 아이들을 데리고 와 놀다 간다”면서 “마을 주민들은 죽을 지경인데, 돈 있는 사람들만 배를 불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와촌리 등 주민들은 지난달 30일 세종시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왜 원주민들만 희생돼야 하느냐”며 산단 철회를 요구했다.

글 사진 세종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21-04-12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