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요칼럼] 향토사학자/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향토사학자/황두진 건축가

입력 2021-03-04 20:20
업데이트 2021-03-05 01: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모든 정상적인 사람은 나이가 들면 향토사학자가 된다.”

언젠가 스쳐 지나가듯이 들은 말이다. 지금 돌이켜 보면 이 말의 출처도 확실하지 않고, 심지어 제대로 기억하고 있는 것인지조차 모르겠다. 그런데 처음 들었을 때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이 말이 시간이 지날수록 가슴에 다가온다. 그리고 향토사학이나 그와 비슷한 것에 조금씩 관심이 가고 있음을 깨달으며 스스로 깜짝 놀라기도 한다.

겨울이 서서히 물러나고 봄이 저만치 오는 길목의 어느 주말, 남행길에 올랐다. 언젠가부터 개인적으로 시간을 내어 절반은 호기심, 절반은 나름 진지한 관심으로 한국의 초기 근대 건축가 한 사람의 삶을 추적해 오고 있다. 마침 그가 1920년대에 설계했다고 전해지는 한 여자 고등학교를 방문할 기회를 얻었고, 그 학교 박물관에서 여러 자료를 볼 수 있었다. 그 학교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험난한 과정을 통해 지어진 것이었다.

1920년대 초 지역 유지들이 뜻을 모아 재단을 만들고 학교 건립을 위한 재원도 어렵게 마련했다. 부지를 확보하고 바야흐로 땅을 고르고 있던 무렵 일본 식민 지배자들의 방해가 시작됐다. 애초에 사립으로 시작된 학교를 공립으로 전환하되 기존의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심지어 건설비도 상당 부분 부담할 것을 강요했다. 말이 공립학교지 사실상 민간이 재원을 조달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온 지역 사람이 격렬하게 항의했으나 식민 지배자들의 입장은 완고했다. 게다가 정 사립학교를 세우려면 다른 부지를 새로 확보하고 재원도 추가로 마련하되 남자 학교가 아닌 여자 학교여야 한다는 조건까지 달았다. 남학생들은 일본에 저항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였다고 한다.

지역 사람들은 이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이 지역 출신으로 서울에서 개업하고 있던 한국 건축가에게 학교의 설계를 맡겼다. 그 결과 그때까지 한반도에 지어진 것 중 가장 크고 훌륭한 학교 건물을 갖게 됐다. 그 학교 여학생들은 훗날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을 때 그에 동조해 저항운동을 시작함으로써 여학생에 대한 식민 지배자들의 편견을 여지없이 깨트리기도 했다. 그리고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금 그 건물은 사라지고 학교도 다른 부지를 구해 이사 갔지만, 새로 조성된 교정에는 어딘가 원래 건물의 분위기가 남아 있는 것 같았다. 역사는 어떤 방식으로든 그 흔적을 남기는 법이다.

그 학교에서 차로 조금 더 가면 바로 그 건축가의 고향이었다. 그의 생가 그리고 묘소를 찾았다. 생가는 심하게 변형되기는 했으나 다행히 아직 그 자리에 남아 있었다. 묘소는 사정이 조금 달랐다. 묘비라도 볼 수 있을까 해서 남의 집안 선산을 뒤지고 다녔는데, 정작 어렵게 찾아간 그 지번은 텅 빈 상태였다. 마을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후손들이 모두 지역을 떠나게 되면서 선산을 정리했다고 한다. 간단히 예를 갖추고 준비해 온 소주 한 병을 주변에 뿌리면서 그의 생애를 되새겨 봤다. 20세기 초반 나라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있을 때 그에게 건축이란 무엇이었을까. 그는 어떤 생각을 하며 일을 하고, 또 자신의 삶을 살았을까.

그날 밤 숙소에 앉아 그야말로 향토사학의 정수인 그 지역의 군지와 읍지를 읽었다. 마침 그 학교의 역사를 담은 교지도 빌려 올 수 있었다. 군지보다는 읍지가, 읍지보다는 교지가 대체로 더 마음에 다가왔다. 그 차이는 아마도 구체적인 사람의 모습이 얼마나 잘 보이는가에 달려 있을 것이다. 사람이 보이지 않거나 위대한 인물만 등장하는 역사보다는 이런 역사가 더 재미있고 배울 것도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은 좀더 많은 향토사학자를 필요로 한다. 세상이 정상이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참, 그 건축가의 이름은 이훈우다.
2021-03-05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