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한일 해저터널/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한일 해저터널/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1-02-02 17:24
업데이트 2021-02-03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덴마크와 독일은 몇 년 후 해저터널로 연결된다. 지난해 10월 두 나라를 잇는 발트해 해저터널 공사가 시작됐다. ‘파마른벨트 터널’로 명명된 이 터널이 2029년 완공되면 두 나라 국민은 기차와 자동차 여행이 가능하다. 10분이면 두 나라를 드나든다니 덴마크나 독일뿐 아니라 북유럽 국가들이 하나 된 유럽연합(EU)을 더 실감할 것이다. 총길이는 18㎞에 불과하지만 사업이 착공되기까지는 10여년이 걸렸다. 안전성과 환경영향평가, 재정 문제 등이 걸림돌이었으나 양국은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역사를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영·프 해저터널은 1995년 개통됐다. 프랑수아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과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1986년 서명한 건설협정에 따라 7년여 만에 완공됐다. 도버해협의 최단거리인 프랑스 칼레와 영국 포크스턴 사이의 해저 약 50㎞를 3개의 해저터널로 연결, 영국과 프랑스는 35분 거리로 가까워졌다. 파리와 런던을 3시간에 연결하는 고속전철 ‘유러스타’의 탄생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유럽 전체를 하나로 묶은 EU 탄생에도 해저터널은 큰 역할을 했다.

부산과 후쿠오카를 잇는 대한해협에 해저터널을 건설하자는 주장은 1917년 일본 군부가 처음 제기했다. 대륙 침탈을 위한 불순한 의도였으니 현실화되지 않은 것이 천만다행이다. 이후에도 일본에서는 여러 차례 적극적인 논의가 있었으나 한국에서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국내에서 대한해협 해저터널이 본격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노태우 전 대통령 때. 노 전 대통령은 1990년 5월 일본 국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해저터널의 필요성을 거론했고, 당시 일본 가이후 총리도 찬성의 뜻을 표명하면서 국민적 관심사가 됐다. 이후 김대중, 이명박 정부 때도 사업 추진이 거론됐으나 그때마다 찬반 논란만 키운 채 실행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양국 간의 과거사 문제와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걸림돌이 됐기 때문이다.

여야 정치권이 또다시 대한해협 해저터널 건설 문제를 두고 설전을 벌이고 있다. 야권에서 부산시장 보궐선거 공약으로 한일 해저터널 방안을 꺼내자 여권이 친일 프레임으로 공세를 퍼붓고 있다. 최근 불거진 북한 지역 원전 건설 추진 의혹을 ‘이적행위’ 등 좌익 프레임으로 공격한 야권에 대한 역공인 셈이다. 보궐선거가 끝나면 해저터널 논란은 조만간 또 사그라들 공산이 크다. 더구나 징용병과 위안부 보상, 독도 영유권 등 과거사 문제가 답보 상태에 있으니 해저터널이 현실화되기엔 하세월이다. 후손의 미래와 대륙의 평화를 위해 한일 양국이 해저터널에 합의할 수 있는 날은 언제쯤일까.

yidonggu@seoul.co.kr

2021-02-03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