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리뷰] 극장 문 닫기 전, 어쩌면 마지막 위로…연극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

[리뷰] 극장 문 닫기 전, 어쩌면 마지막 위로…연극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0-12-08 14:27
업데이트 2020-12-08 14: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3일 개막한 국립극단 신작, 9일부터 공연 중단
김수영 시 곳곳에 읊으며 각자의 삶에 대한 위로 건네

이미지 확대
국립극단 신작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의 한 장면.  국립극단 제공
국립극단 신작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의 한 장면.
국립극단 제공
지난 7일 서울 용산구 서계동 백성희장민호극장의 밤은 여느 때와 달리 조금 더 특별했다. 8일부터 국공립 문화시설도 18일까지 당분간 문을 닫게 됐는데, 다른 공연장처럼 월요일이 아닌 화요일을 쉬는 날로 해 온 국립극단이 가까스로 신작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의 닷새째 공연을 연 것이다. 한 자리씩 띄어 앉도록 정해진 자리를 어느새 가득 채운 객석은 어쩌면 끝일지도 모르는 무대 위로 눈과 귀와 마음을 잔뜩 기울였다.

연극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는 민주화운동에 젊음을 바쳤지만 어느덧 기성세대가 된 형진(김수현 분)과 주변 인물들을 통해 각자의 삶과 사랑에 대한 방식을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얼핏 이상과 현실 사이 586세대라는 익숙한 소재일 수 있지만 “라떼(나때)는 이랬어”라며 ‘꼰대’스럽지도 않고 그렇다고 그들을 비판하거나 처연하게 바라보지도 않는다.

고초를 겪고 스물일곱에 생을 마감한 대학 동기 윤기(김규도 분)를 가슴에 묻으며 시민단체 부대표로 가까스로 이상을 붙들고 살아가는 형진, 이들과 함께 운동을 하며 새로운 미래를 그렸다가 ‘달라진 세상’에서 대형 프랜차이즈 학원 대표가 된 현(안병식 분), 친구들 만큼 세상을 바꿀 용기는 없었지만 함께 젊음을 보내다 변호사가 된 시형(원춘규 분), 형진의 동지이자 아내 영미(김정은 분). 누가 옳고 그른지 판단하는 대신 저마다 무던히도 애쓰며 버티고 살아냈음을 그대로 보여 준다.

취업과 적성, 결혼 등 ‘나’를 찾기 위해 고민하는 형진과 영미의 아들 준수(이원준 분)를 비롯한 지금의 청년들의 치열함도 나름대로 뜨겁다는 것을 담담하게 알린다. 자신이 누구인지 확실히 아는 드래그퀸(김은우 분)마저 ‘거대한 벽도 계속 두드리면 언젠가 허물어지는 날이 올 것’이란 마음으로 무수히 많은 두드림으로 그 자리에 섰다.
이미지 확대
연극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의 장면. 변호사가 된 시형(원춘규), 학원 대표가 된 현(안병식), 시민단체 부대표인 형진(김수현)이 대학 동기 윤기의 기일에 함께 술을 마시고 있는 모습.  국립극단 제공
연극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의 장면. 변호사가 된 시형(원춘규), 학원 대표가 된 현(안병식), 시민단체 부대표인 형진(김수현)이 대학 동기 윤기의 기일에 함께 술을 마시고 있는 모습.
국립극단 제공
가까이 들여다봐야만 흔들림을 볼 수 있는 잔물결처럼 이들의 잔잔하게 일렁이는 삶을 더욱 공감하게 만드는 건 중간중간 윤기가 읊는 김수영 시인의 시들이다. ‘그 방을 생각하며’로 시작해 ‘봄밤’, ‘달나라의 장난’, ‘사랑의 변주곡’이 흘러나오고 무대 배경에 시구가 밝게 빛난다. “재앙과 불행과 격투와 청춘과 천만인의 생활과/그러한 모든 것이 보이는 밤(봄밤)”은 꼭 지금 우리의 밤과도 같았고 “너도 나도 스스로 도는 힘을 위하여/공통된 그 무엇을 위하여 울어서는 아니 된다는 듯이/서서 돌고 있는(달나라의 장난)” 팽이도 어딘가 닮은 존재 같았다.

극 중 인물들이 버티고 다져 온 시간들은 우리 모두의 것이기도 하다. “선택한 것이 아니라 버릴 수 없는 것들이 모여 인생이 되는지도 모른다”는 형진의 말은 무언가를 선택하기도 조심스러운 겨울밤 은근한 위로다.

‘당신이 밤을 건너올 때’는 당초 20일까지 공연될 예정이었지만 국립극단은 9일부터 18일까지의 공연을 일단 중단한다. 이후 다시 무대를 만날 수 있을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