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지개 켜는 수출 2년 만에 ‘플러스’…예상 웃돈 성장률 11년 만에 ‘2%대’

기지개 켜는 수출 2년 만에 ‘플러스’…예상 웃돈 성장률 11년 만에 ‘2%대’

김승훈 기자
입력 2020-12-01 18:00
업데이트 2020-12-01 1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경제 살아나나…회복 청신호

훈풍 부는 수출 현장
훈풍 부는 수출 현장 1일 부산 동구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수출 컨테이너가 대규모로 쌓여 있다. 11월 수출은 458억 10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총수출액과 일평균 수출액 모두 늘었다.
부산 뉴스1
지난달 수출이 2년 만에 전체·일평균 수출액에서 모두 플러스로 전환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월 수출이 전년 동월 대비 4.0% 늘어난 458억 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8월 6개월 내리 줄다가 9월 7.3% 증가한 뒤 10월 3.8% 감소로 돌아섰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하루 평균 수출액도 19억 9200만 달러로 6.3% 증가했다. 총수출액과 일평균 수출액이 모두 증가한 건 2018년 11월 이후 2년 만이다.

지난달 수출은 1년 전보다 조업일수가 0.5일 줄었는데도 증가했다. 조업일수 부족에도 총수출액이 플러스를 기록한 건 2018년 3월 이후 32개월 만이다. 우리나라 수출은 석 달 연속 총수출액이 400억 달러 이상, 하루 평균 19억 달러 이상을 기록해 수출 회복 모멘텀이 지속되고 있다.

15대 수출 품목 가운데 반도체(16.4%), 디스플레이(21.4%), 무선통신기기(20.2%), 이차전지(19.9%), 가전(20.3%), 컴퓨터(5.6%) 등 10개 품목이 증가했다. 산업부는 “정보통신 관련 품목들이 상승세를 보이는 게 긍정적인 신호”라고 평가했다. 반도체는 3개월 연속 두 자릿수대 증가를 이어 갔고 디스플레이와 무선통신기기는 수출액과 증감률 모두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1.0%)과 미국(6.8%), 유럽연합(24.6%), 아시아(6.4%) 등 4대 시장의 총수출과 일평균 수출액이 3년 만에 모두 증가세를 나타냈다.
이미지 확대
월별 수출 증감률
월별 수출 증감률
반면 수입은 2.1% 감소한 398억 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무역수지는 59억 3000만 달러로 7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 갔다. 올 들어 11월까지 누적 무역흑자는 390억 달러로 지난해 연간 흑자 규모(389억 달러)를 이미 넘어섰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전기차 같은 고부가가치 상품 수출이 11월에만 25% 이상 늘었고 코로나19 진단키트 같은 신성장 품목도 역대 최고 실적을 올렸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올 3분기 경제성장률이 2% 넘게 반등했다. 코로나 충격으로 부진했던 수출과 설비투자가 회복된 영향이 컸다. 올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 1000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올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직전 분기 대비 2.1%(잠정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1일 발표했다.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분기(3.0%)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다. 이번 잠정치는 지난 10월 27일 발표된 속보치(1.9%)보다 0.2% 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속보치 추계 당시 반영되지 못한 9월 일부 실적 자료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설비투자(1.4% 포인트), 건설투자(0.5% 포인트), 민간소비(0.1% 포인트)가 더 개선됐다.

앞선 분기 성장률에서는 1분기(-1.3%)와 2분기(-3.2%)가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특히 2분기 성장률은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4분기(-3.3%) 이후 11년 6개월 내 가장 낮았다. 한은은 4분기 성장률이 전기 대비 0.4~0.8% 성장하면 올해 성장률 전망치(-1.1%)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한은은 최근 올해 성장률을 종전 -1.3%에서 0.2% 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3분기 성장률 반등은 수출과 설비투자가 주도했다. 3분기 수출은 자동차, 반도체를 중심으로 2분기보다 16.0% 늘었다. 1986년 1분기(18.4%) 이후 가장 높다. 설비투자도 기계류·운송장비 등을 중심으로 8.1% 늘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도 2분기보다 2.4% 늘었다. 1분기(-0.8%), 2분기(-2.2%)를 거쳐 3분기 만에 반등했다. 2017년 3분기(2.7%) 이후 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은은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1205.9원을 넘지 않는다면 올해 1인당 GNI는 3만 1000달러를 조금 상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1인당 GNI는 2017년 3만 1734달러로 올라선 뒤 지난해까지 3년 연속 3만 달러대를 유지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20-12-02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