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트럼프 입원 전 산소호흡기” “확진 시점은 2일이 아니라 30일 오전”

“트럼프 입원 전 산소호흡기” “확진 시점은 2일이 아니라 30일 오전”

임병선 기자
입력 2020-10-04 06:29
업데이트 2020-10-04 06: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몸상태와 진단 시점 엇갈려 , 의료진은 회견서“활력징후 등 좋다”

마크 메도스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이 3일 아침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있는 월터 리드 군 병원 입구에서 숀 콘리 대통령 주치의가 대통령의 몸상태에 대해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마치자 어깨를 두드려주고 있다. 베데스다 AP 연합뉴스
마크 메도스 미국 백악관 비서실장이 3일 아침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있는 월터 리드 군 병원 입구에서 숀 콘리 대통령 주치의가 대통령의 몸상태에 대해 설명하는 기자회견을 마치자 어깨를 두드려주고 있다.
베데스다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병원에 입원하기 전 백악관에서 산소호흡기를 낄 정도였으며 향후 48시간의 경과가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 관리들의 전언이 엇갈리는 내용들이 많아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영국 BBC는 3일(이하 현지시간) 짚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시점이 진단 받은 시점보다 하루 전이란 주장까지 나왔다.

이날 오전 숀 콘리 대통령 주치의 등 의료진은 기자회견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상태가 아주 좋고 24시간 열이 없었으며 호흡에도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몇 분 전 마크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은 일간 뉴욕 타임스(NYT), CNN 방송, AP 통신 등에 “대통령이 전날 백악관에서 호흡에 문제가 있었고 (혈중) 산소수치가 떨어져 의료진이 산소호흡기를 제공하게 됐다”면서 “(의료진이) 트럼프 대통령을 군 병원으로 옮겨 더 좋은 장비로 모니터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더 신속하게 치료받게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4시간 동안 트럼프 대통령의 활력 징후(바이탈 사인)가 아주 우려스러웠고 향후 48시간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소식통 발언을 인용한 다수 언론의 보도가 사실일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상태는 공식 발표보다는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CNN과 NYT 등은 ‘대통령의 건강 상태를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했는데 그는 “아직 완전한 회복을 위한 분명한 경로에 들어선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역시 소식통 발언이라고 보도하던 AP는 얼마 뒤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을 인용해 같은 발언을 보도했다. 언론들이 인용한 소식통이 메도스 실장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메도스 실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인 핵심 당국자로, AP는 “메도스 실장의 발언은 의료진의 장및빛 평가와 배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메도스 실장은 의료진의 기자회견에 배석한 뒤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선 “대통령은 상태가 아주 좋다. 호전됐고 검토할 서류를 달라고 한다. 의료진은 그의 활력 징후에 아주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BBC는 트럼프 대통령의 몸상태는 단순한 개인의 건강 문제가 아니라 모든 나라들의 안보와 직결된 아주 민감한 정보인데 의료진과 백악관 비서실장이 상충된 정보를 대중에게 전파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일이라며 시정할 것을 요구했다.

한편 콘리 박사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코로나19 진단이 내려진 시점이 “72시간 전”이라고 밝혀 30일 아침을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는 또 48시간 전부터 트럼프 대통령이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의 두 발언이 맞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확진 판정을 받고도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으면서 미네소타주 대선 유세와 뉴저지주 대선 자금 모금 행사에 참석한 것이어서 대통령이 중대한 방역 지침을 어기고 감염병 확산에 앞장섰다는 비난과 함께 더욱 많은 논란을 낳을 것으로 보인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