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60년 美언론 관행 계속된다… WP 등 “차기 대통령은 바이든”

160년 美언론 관행 계속된다… WP 등 “차기 대통령은 바이든”

안석 기자
안석 기자
입력 2020-09-29 21:36
업데이트 2020-09-30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보 지지’ NYT가 링컨 지명 첫 시작
일부 독자 참여 확대 등 투명성 강화
4년 전엔 100곳 중 52곳 힐러리 지지
지역 매체 사이선 표명 안 하는 곳도

이미지 확대
TV토론 최종 리허설
TV토론 최종 리허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 간 첫 대선 TV토론을 하루 앞둔 28일(현지시간)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 준비요원들이 최종 리허설을 하고 있다. 이번 TV토론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대형 유세와 유권자 접촉 같은 전통적 선거운동이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유권자의 후보 자질 판단과 지지 후보 선택에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클리블랜드 AFP 연합뉴스
미국 유력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28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후보에 대한 지지를 공식 선언하는 등 미 언론의 특정 후보 지지 전통이 이번 대선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WP의 이날 선언은 매체들의 지지 선언이 집중되는 10월 중순에 앞서 출발선을 끊은 것과도 같았다.

WP 편집위원회는 이날 온라인 오피니언면에 쓴 입장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최악의 대통령’이라고 지칭하며 바이든 후보가 미국이 직면한 도전에 대처할 적임자라고 밝혔다. 이 신문은 코로나19와 불평등, 인종차별, 민주주의 후퇴 등을 미국이 직면한 도전으로 거론하며 “이런 도전은 재임자에 의한 것이다. 바이든은 미국 정부의 품위, 명예, 능력을 회복할 것”이라고 썼다. 또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를 ‘자멸적’이라고 지칭하며 바이든이 미국의 외교 전통을 복원할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했다. 앞서 시애틀타임스, 시카고트리뷴 등이 바이든 편에 선 바 있어 WP까지 10여개 매체가 바이든 지지를 선언한 상태다.

한국에서는 공직선거법상 불가능한 언론의 후보 지지 표명은 1860년 에이브러햄 링컨 공화당 후보를 지지한 뉴욕타임스(NYT)를 시작으로 이어진 미 언론의 관행이다. 미 정치매체 더힐에 따르면 2016년 대선에선 100대 주요 일간지 가운데 52개 매체가 힐러리 클린턴을, 2개 매체는 트럼프를 지지했다. 주간지, 대학신문 등까지 확대하면 500개 매체가 클린턴을, 28개 매체는 트럼프를 선택했다. 매체의 의사 표명은 특정 후보에 반대하는 형태로도 이뤄진다. 종교잡지 ‘크리스처니티투데이’는 4년 전 대선 때 “트럼프는 여러 가지 면에서 우상숭배주의자”라며 반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많은 매체가 바이든 편에 설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전대미문의 ‘아웃사이더 대통령’이 재선에 도전하는 상황에서 언론의 후보 지지 관행이 어떻게 변화할지도 관심을 끌고 있다. 앞서 15일에는 시사가 아닌 과학을 다루는 잡지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이 바이든 지지를 선언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매체가 정치적 의사를 표명한 것은 175년 역사상 처음이었다.

후보 지지 관행이 160년째 이어지며 타성에 젖을 수도 있지만 올해 대선에서는 독자 참여 확대 등 일부 변화를 시도하는 움직임이 감지된다. 올해 초 민주당 경선 때 사상 처음으로 복수 후보(엘리자베스 워런·에이미 클로버샤) 지지 의사를 밝힌 NYT는 “새로운 차원의 투명성을 시험하는 것”이라며 이들과의 인터뷰 영상을 온라인에 싣는 등 후보 선택 과정을 독자들에게 공개한 바 있다.

지역 매체 사이에서는 입장이 엇갈리는 점도 주목된다. 4년 전 대선 때 의사 표명이 없었던 올랜도센티넬, 오리고니언 등 지역 일간지들은 앞서 바이든 지지를 표명했지만 매클래치 미디어그룹이 발행하는 30여개 지역 매체는 지역 현안에 집중하자는 이유로 올해 후보 지지가 없을 것이라고 NYT가 보도한 바 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20-09-30 1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