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식생활 변화로 새롭게 개선할 필요 있는 한국인 유당불내증 통계

식생활 변화로 새롭게 개선할 필요 있는 한국인 유당불내증 통계

김태이 기자
입력 2020-09-28 16:38
업데이트 2020-09-28 16: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사의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은 우유 속 유당

우유를 마시면 유독 배가 아픈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 대부분은 유당불내증일 가능성이 높다. 이는 소장에서 우유에 함유된 유당을 제대로 분해하여 흡수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유당분해효소인 ‘락타아제(Lactase)’가 부족하거니 결핍된 사랑에게 나타난다. 이 증상을 가진 사람은 우유를 마시면 배가 아프거나 설사를 하게 된다.
유럽이나 북아메리카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아시아인의 경우 유당불내증을 보이는 사례가 유독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유당불내증이 나타나는 정도는 인종에 따라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우리나라 사람들 중 약 75%가 유당불내증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초등학생의 경우는 유당불내증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2011년 연세대학교 윤성식 교수팀이 발표한 ‘유제품 섭취에 따른 한국인(학령기)의 유당소화율 측정 및 유당불내증의 발생 빈도 연구’에 따르면, 임상증상에 의한 유당불내성을 판정한 결과 초등학생 636명 중 154명(24.2%)만이 유당불내증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령기 남녀 성별에 따른 유당불내증 유병률 측정 결과, 남자 25%, 여자 23.1%로 나타나, 1994년 ‘한국인의 유당소화장애에 관한 연구’ 내 유당소화장애율 결과인 성인 남성 80%, 성인 여성 73.3% 수치와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경제성장과 음식문화의 서구화에 따라 보다 쉽게 우유를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증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국내 전문가들은 식생활 패턴 변화를 고려해 새롭게 통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뜻을 전했다.

실제 2006년 일본낙농유업협회에서 발표한 ‘유당 섭취량과 설사발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위장장애가 없고 설사나 변비 증상이 전혀 없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유당을 30g~60g까지 10g 간격으로 섭취시킨 다음 설사 발생 빈도를 측정한 결과, 30g까지는 설사가 생기지 않았고 40g에서 11%, 50g에서 39%, 60g에서 55% 설사가 발생했다. 이를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하루에 500ml 이하의 우유를 섭취하는데 유당의 양으로 환산하면 약 25g 미만에 해당되므로, 우유의 유당은 설사의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국인의 75%가 유당불내증을 앓고 있어 우유를 마시면 속이 불편해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우유 대신 식물성 우유를 마셔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형미 교수는 “비만인 사람에게는 칼로리가 적은 식물성 음료가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우유를 대체하지 못한다”라며 “우유는 단백질과 칼슘을 가장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이라고 전한 바 있다.

덧붙여, “식물성 음료는 우유보다 칼슘 함량이 떨어진다”라며 “한국인 10명 중 7명은 칼슘을 평균 필요량보다 적게 섭취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유를 대신에서 식물성 음료를 마시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우유에는 단백질, 지방, 칼슘, 칼륨, 인, 비타민 A와 D, 리보플라빈 등 몸에 좋은 필수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하루 칼슘 섭취 권장량은 성인 기준 700㎎으로, 우유 한 잔을 통해 약 200㎎의 칼슘을 충족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꾸준히 우유를 섭취할 것을 추천한다.

이에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우유 섭취는 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 이후에도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를 위해 우유를 꾸준히 마실 필요가 있다”라며, “유당불내증 때문에 우유를 마시기 힘들다면 요리에 우유를 넣어 활용하거나, 따뜻하게 데워서 마시는 방법을 추천한다”라고 전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