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득권과 싸운 괴짜, 스위스인 삶 바꾸다

기득권과 싸운 괴짜, 스위스인 삶 바꾸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9-24 20:46
업데이트 2020-09-25 01: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틀리프 두트바일러
구르트 리스 지음/김용한 옮김/북바이북/616쪽/2만 8000원

미그로 창립자 고틀리프 두트바일러. 공공의 선을 위해 기득권에 당당하게 맞선 그는 주식회사였던 미그로를 1941년 협동조합으로 전환하며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다. 스위스 국민이 아인슈타인 다음으로 존경하는 인물로 꼽히는 이유다. 북바이북 제공
미그로 창립자 고틀리프 두트바일러. 공공의 선을 위해 기득권에 당당하게 맞선 그는 주식회사였던 미그로를 1941년 협동조합으로 전환하며 재산을 사회에 환원했다. 스위스 국민이 아인슈타인 다음으로 존경하는 인물로 꼽히는 이유다.
북바이북 제공
협동조합 ‘미그로’ 창시자 고틀리프 두트바일러 평전


지역에 기반둔 생산과 소비로 저렴한 값에 물건 판매
대기업과 기득권 횡포 이기고 스위스 최고 기업 성장


15년간 일군 회사 10만명에게 나누고 협동조합 전환
“저는 자식이 없지만, 수십만명의 자식이 있습니다”
진보·보수 이분법 논리 넘은 사회적 경제 고찰 계기로

1925년 8월 25일, 포드사의 낡은 T-모델 트럭 5대가 커피, 면류, 설탕 등을 싣고 스위스 취리히 거리에 나왔다. 일반 가게에서 파는 제품보다 30% 정도 싸지만, 품질은 좋았다. 트럭이 지나갈 길에는 공격적인 문구의 전단이 전날 배포된 터였다. “신선한 제품을 누구보다 싸게 팔 테니 다른 소매상 가격과 비교해 보라. 주부들이 나와서 제품을 사지 않으면 우리는 이 판매 방식을 포기하겠다”는 내용이었다. 지금도 승승장구하는 스위스 최대 협동조합 ‘미그로’의 첫 출발이었다. 예상대로 하루 만에 모든 제품이 동났고, 미그로라는 이름을 주부들에게 똑똑히 각인시켰음은 두말할 나위 없다.
이미지 확대
우리에게는 다소 생소하지만, 미그로 창립자 고틀리프 두트바일러는 스위스 국민이 아인슈타인 다음으로 존경하는 인물이다. 국내에 처음 나온 그의 평전은 미그로의 출발을 비롯해 그가 기득권의 횡포에 어떻게 맞섰는지를 생생하게 담았다.

두트바일러는 젊은 시절 여러 일을 하다 별 재미를 보지 못하고 브라질로 건너가 커피를 재배했다. 스위스로 왔을 때 소매상 커피 가격에 충격을 받는다. 브라질 농부가 5년 동안 열심히 일해 생산한 커피 원가의 3배로 팔리고 있어서다. 그는 식료품을 가득 실은 대형버스가 미국 서부 곳곳을 돌아다닌다는 사례에서 착안해 트럭에 제품을 싣고 물건을 싼 가격에 팔기 시작했다.

기존 상인들이 반발한 건 당연했다. 트럭을 따라다니며 야유와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길에 못을 깔아 타이어를 구멍 내기도 했다. 경찰은 벌금과 과태료를 매기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세력이 커지자 대기업도 방해공작에 나섰다. 그러나 두트바일러는 헹켈이나 유니레버, 네슬레 같은 대기업 제품을 조롱하는 이름과 포장으로 유사 제품을 내고, 신문 광고 지면을 사 대기업이 과한 이득을 챙긴다고 알리는 식으로 맞섰다. 소송에 일부러 걸려 언론에 오르내리는 노이즈마케팅을 펼치고, 벌금이 나오면 소비자들에게 소액 모금으로 미그로를 도와 달라고 호소하며 아군을 늘렸다. 기득권이 언론에 수를 쓰자 비행기를 이용해 광고문을 도심 한복판에 뿌리기도 했다.

그저 괴짜 사업가로 치부할 수 있지만, 그의 행동은 모두 철저한 신념에 따른 것이었다. 미그로는 지역에 기반을 둔 생산과 소비를 지향하고, 소비자 중심 가격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술과 담배를 팔지 않으며, 여전히 사업 매출의 1%를 문화 사업에 기부한다. 그는 물건을 파는 일만으론 사회를 바꾸기 어렵다고 생각해 정치에도 뛰어든다. ‘무소속 란데스링(LdU)’이라는 정당을 세워 활동하며, 주 44시간 노동을 법률화하고자 애썼다.

특히 그가 15년 동안 피땀으로 일군 미그로를 사회에 환원한 부분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히틀러를 가장 강하게 비판한 인물이었던 그는 히틀러 같은 독재자가 한 사람의 재산을 쉽게 빼앗을 수 있지만, 모두에게 재산을 나눠 주면 쉽게 뺏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다. 미그로는 1941년 1월 10만명의 조합원에게 주식을 나눠 주고 협동조합으로 전환한다. 그는 미그로 조합원을 가리켜 “저는 자식이 없지만, 수십만명의 자식이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한 거인의 생애로 돌아본 협동조합 탄생과 발전은 사회적 경제를 두고 진보냐 보수냐 이분법 정치 논리로 싸워대는 한국 정치꾼들이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오래전 출간한 책이지만, 이제야 한국에 소개되는 게 그저 아쉬울 따름이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9-25 2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