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화웨이 제재, 국내 반도체 위기돌파 출구 찾아야

[사설] 화웨이 제재, 국내 반도체 위기돌파 출구 찾아야

입력 2020-09-16 20:12
업데이트 2020-09-17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기업 10조원 이상 매출차질 예상
정부·업계, 시장발굴·인력양성 힘써야

중국 화웨이에 대한 미국의 추가 제재가 그제부터 발효됐다. 미국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는 전 세계 모든 반도체 기업이 미국 상무부의 사전허가 없이 일체의 관련 제품을 화웨이에 판매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문제는 우리 관련 산업에 미칠 영향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들은 당장 화웨이라는 거대 고객을 잃게 됐다. 미중 양국의 패권 다툼으로 인한 불똥이 ‘샌드위치’ 신세에 놓인 국내 기업으로 튄 것이다. 이번 제재 대상엔 D램, 낸드플래시 등 매출 비중이 큰 메모리 반도체뿐만 아니라 이미지센서 등 시스템 반도체도 모두 포함돼 파장은 더 크다. 지난해 매출에서 화웨이가 차지하는 비중이 삼성전자는 3.2%(7조 3000억원), SK하이닉스는 11.4%(3조원) 정도다.

이번 화웨이 제재가 장기화할 경우 연간 10조원의 시장이 날아갈 수 있다고 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화웨이에 스마트폰용을 비롯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공급해 온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도 이번 미국의 제재로 화웨이에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칩(드라이브 IC)이 제재 대상에 포함되면서 패널을 통째로 납품할 수 없다. 반도체에 전기를 일정하게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도 마찬가지다.

반면 삼성전자가 최근 미국 최대 통신사 버라이즌으로부터 8조원 규모의 5G 장비를 수주한 것이나, 화웨이의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 하락 등으로 국내 업체가 일종의 ‘반사이익’을 볼 수도 있다. 화웨이를 대체할 오포, 비보, 샤오미 등 중국의 다른 스마트폰 생산 업체로 수출이 늘어나는 풍선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미국의 화웨이 제재는 우리 기업에는 위기이자 기회인 셈이다. 화웨이 제재는 미국과 중국 간 기술 패권 다툼의 성격이 크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재선 여부와 관계없이 반도체, 인터넷, 인공지능(AI) 등 미래 기술 전반에 걸쳐 양국의 다툼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

미중의 다툼은 단기적으로는 국내 반도체 업체에 타격을 주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경쟁력을 갖추는 데 정부와 업계가 지혜를 모으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당장의 손익에만 일희일비해선 우리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담보하기 어렵다.

반도체산업을 국가 기간산업으로 키우는 미국과 중국, 일본에 맞서 정부는 세제 지원이나 규제 완화 등으로 업계의 애로사항을 듣고 해결해 주는 데 노력하고 반도체 인력 양성에도 힘써야 한다. 업계도 화웨이 제재의 여파를 극복할 수 있도록 새로운 공급처와 시장 발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2020-09-17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