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한국 고문서 연구가의 조선·고려 연구 모음집

日 한국 고문서 연구가의 조선·고려 연구 모음집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9-16 17:52
업데이트 2020-09-17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와니시 교수 ‘고려말 조선 초 공문서…’
“조선 외교 활동까지 분석… 주목할 성과”

이미지 확대
일본 내 유일한 한국 고문서 연구자인 가와니시 유야 니가타대 조교수의 연구를 모은 ‘고려 말 조선 초 공문서와 국가’가 나왔다.

가와니시는 당시 실물 문서 가운데 임명문서를 주로 분석했다. 특히, 2009년 조선 초기 문무관인 이화상의 처에게 발급된 봉작문서를 연구해 ‘경국대전’ 체제 이전 문서 양식을 자세히 설명해 학계의 주목을 끌었다.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서 양식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지만, 나름 독자적으로 변모할 체계를 갖추고 경국대전 이후 이런 경향이 더 강해졌다는 내용이다.

2010년에는 조선 후기 문인 황윤석의 필사본 일기 ‘이재난고’에 실린 고려 말과 조선 초기 고문서 연구 결과를 냈다. 실물 자료가 극히 드문 상황에서 관직 임명문서인 ‘관교’와 녹봉 지급문서인 ‘녹패’ 사례를 세밀히 연구해 후속 연구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2011년에 조명한 1344년 고려 말 임명문서는 신우에게 임금이 발급한 자료로, 경북 의성의 아주 신씨 가문에 전해지는 유일한 왕지 실물 자료다. 그러나 조선 전기 발급한 왕지와 양식이 다소 달라 진위 논란도 있다. 가와니시는 문서에 찍혀 있는 인장이 원나라 쿠빌라이 황제 시기에 창안한 파스파 문자로 새겨진 ‘부마고려국왕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조선시대에는 파스파 문자를 이해하는 사람이 거의 없었고, 파스파 문자 위조가 힘들다는 점을 들어 이 문서가 진본이라고 주장했다.

번역을 맡은 박성호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는 16일 “일본인 연구자가 한국 학자들도 시도하지 못한 고려 말과 조선 초 원본 자료를 발굴하고, 시기별 변화 양상을 치밀하게 분석한 드문 사례”라고 설명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9-17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