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韓 “아베 못 믿어” 93.7% 日 “문 대통령 신뢰 안해” 79.2%

韓 “아베 못 믿어” 93.7% 日 “문 대통령 신뢰 안해” 79.2%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9-10 17:05
업데이트 2020-09-10 17: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언론진흥재단 ‘한일 갈등 시민 인식 조사’ 발표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P 연합뉴스
한일 양국 시민 10명 중 8~9명은 상대국 지도자를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돼 한일 갈등의 골이 매우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민병욱)은 10일 한국인 1000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과 일본인 742명(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7% 포인트)을 대상으로 양국의 갈등 현황, 관계 전망 등에 대해 조사한 ‘한·일 갈등에 대한 양국 시민 인식 조사’ 보고서를 내놨다.

조사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을 신뢰한다는 일본 시민은 2.4%에 그쳤다. 반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79.2%였다. 건강문제로 최근 사임한 아베 신조 총리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한국 시민은 93.7%에 이르렀다. 아베 총리를 신뢰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0.9%에 불과했다.

현재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한 국가별 책임 여부에 대해 ‘상대 국가의 책임이 더 크다’고 응답한 비율은 일본 시민이 36.7%, 한국 시민은 16.0%였다. ‘자국 책임이 더 크다’는 응답도 일본 시민이 23.6%, 한국시민이 8.9%로 일본 측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양국에 반반의 책임이 있다’는 응답은 한국 시민이 75.1%였고 일본 시민이 39.8%였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8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0. 9. 1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8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2020. 9. 10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현재 악화된 한일 관계의 책임이 상대 국가의 어떤 전문가에게 있는지 각 전문가별로 조사한 결과 ‘상대국 정치인’에게 책임이 있다는 한국 시민이 84.9%, 일본 시민이 53.8%로 한국에서는 일본 정치인에 대한 반감이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상대국 고위공직자’도 한국 시민이 82.8%, 일본 시민이 51.2%로 비슷했다. ‘상대국 언론인’에게 있다는 응답 비율도 높은 수준이었다. 한국 시민 78.4%, 일본 시민 43.1%가 악화된 한일 관계에 책임 있는 전문가로 상대국 언론인을 꼽았다.

한국 시민 중 일본 제품과 콘텐츠에 대한 불매운동을 알고 있다는 비율은 96.5%였다. 또 ‘최근 1년 동안 일본 제품 구입이 줄었다’는 응답은 80.0%였고, ‘일본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69.4%였다.

반면 한국 제품과 콘텐츠에 대한 전국적 불매 운동이 없었던 일본에서는 상황이 달랐다. 일본 시민 중 31.1%만 ‘최근 1년 동안 한국 제품 구입이 줄었다’고 응답했고, ‘한국 콘텐츠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27.8%에 그쳤다.

한일 양국 시민 모두 상대 국가와 국민에 대한 호감이 매우 낮았다. 한국 시민 중 일본에 호감을 갖고 있는 비율은 15.0%였다. 일본 시민은 10.8%에 불과했다.

‘독도 등 영토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은 한국 시민 91.8%, 일본 시민 76.8%였다. 해결됐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일본 시민 4.7%, 한국 시민 2.7%에 불과했다. ‘위안부 등 역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응답도 한국 시민 91.0%, 일본 시민 55.5%로 격차가 컸다. 해결됐다는 비율은 일본 시민이 20.6%였지만, 한국 시민은 3.0%에 그쳤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