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비위생? NO!”…꿀벌 대신 파리들이 과일 만드는 시대 온다

“비위생? NO!”…꿀벌 대신 파리들이 과일 만드는 시대 온다

김태균 기자
입력 2020-08-11 14:39
업데이트 2020-08-11 15: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꿀벌과 코스모스
꿀벌과 코스모스 일교차 큰 가을 날씨를 보인 24일 경기도 파주시 율곡습지공원에서 꿀벌들이 코스모스에서 꿀을 따고 있다. 2019.9.24
연합뉴스
과일나무가 열매를 맺는 데 필수적인 가루받이(수분)의 주역이 지금까지 꿀벌들이었다면 언젠가 그 역할을 파리들이 대신하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과수 가루받이에 꿀벌 대신 파리를 이용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11일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는 “꿀벌이 세계적으로 감소한 것이 주된 이유”라며 “파리는 꿀벌처럼 사람을 쏘지도 않고 날씨의 영향을 받지도 않지만 ‘비위생적’이란 이미지가 강한 게 현재로서 한계”라고 전했다.

오카야마대학 출신의 한 벤처기업은 ‘히로즈킨 파리’라는 의료용 파리를 과수 가루받이용으로 번식시키고 있다. 소고기, 닭고기, 설탕물을 공급해 알을 낳게 해 번데기 상태까지 키운 뒤 일선 과수 농가에 공급한다. 이 파리는 원래 당뇨병 환자 치료용으로 번식돼 왔다. 당뇨병으로 괴사된 피부에 번데기 상태로 도포해 해당 부위를 먹어치우게 함으로써 다리의 절단을 막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지금은 딸기, 망고, 블루베리 등 과일이나 채소의 꽃에 앉아 꿀을 먹으며 꽃가루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출하가 시작된 2011년도에 4만 마리 정도이던 이 벤처기업의 파리 공급량은 지난해 1200만 마리로 늘었다. 현재 딸기 농가를 중심으로 500곳에 공급되고 있다.

아이치현 도요타시의 딸기 농가는 지난해 가을 가루받이용 파리를 도입해 큰 성과를 내고 있다. 하우스에 2000마리 정도가 항상 날아다닌다.

가루받이용 파리에 관심이 높아진 것은 심각한 꿀벌 부족 때문이다. 1990년대 이후 세계 각지에서 꿀벌들이 대량으로 폐사하면서 2007년까지 북반구에 서식하는 꿀벌의 4분의 1이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집먼지 진드기의 꿀벌 유충 기생, 농약의 영향 등이 개체수 감소의 이유로 지적되지만 뾰족한 해답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다.

파리는 꿀벌보다 장점이 많다. 꿀벌은 덥거나 추운 날, 흐린 날은 움직임이 둔화되지만 파리는 섭씨 10~35도 범위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다. 벌침에 사람이 쏘일 리도 없다. 가루받이의 정확도가 높아서 질좋은 과일이 생산되는 비율도 꿀벌을 활용할 때보다 높아졌다는 게 재배농가들의 말이다.

현재 가장 큰 걸림돌은 대장균 매개체, 지저분한 곳 서식 등 파리에 대한 나쁜 이미지다. 농가에 파리를 납품하는 나카노 쓰요시(48)는 니혼게이자이에 “깨끗하고 해가 없긴 하지만, 아무래도 음식물에 관련돼 있는 만큼 선입견을 없애는 것이 어렵다”면서 “파리를 요정으로 묘사한 마스코트 캐릭터를 만드는 등 사람들의 저항감 해소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 김태균 특파원 winds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