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백종우의 마음의 의학] 자살이 아니다 사회적 타살이다

[백종우의 마음의 의학] 자살이 아니다 사회적 타살이다

입력 2020-07-06 20:14
업데이트 2020-07-07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경희대병원 교수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경희대병원 교수
최숙현 선수의 안타까운 죽음에 깊은 애도를 전한다. 23세 젊은 꿈이 수년간 가해진 폭력에 시들어 버렸는데, 우리는 이를 막지도 구조하지도 못했다.

정신건강복지센터에는 다양한 폭력 피해자가 찾아온다. 폭력은 몸과 마음에 심각한 트라우마를 남긴다. 어떻게든 벗어나고 싶고 해결하고 싶지만 현실의 벽은 높기만 하다. 주변의 대처는 때로 또 다른 폭력이 된다. 확실한 물증이 있느냐고 묻거나 학교나 직장생활이 더 힘들어지지 않겠느냐며 넌지시 이쯤에서 멈추자고 한다.

어느덧 피해자는 ‘우리’를 생각하지 않는 이기적인 존재로 몰리기 십상이다. 지위가 높은 가해자일수록 오히려 의기양양하다.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니 증거가 애매할 때는 ‘마음의 준비가 되었느냐’고 피해자의 마음을 물을 수밖에 없다.

지난 10년간 폭력에 대한 인식과 대처가 개선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작년에 만난 한 직장 여성은 회식 자리에서 성추행 피해를 입었다. 직접 폐쇄회로(CC)TV를 찾아내 증거로 제출했다. 회사는 경찰이 조사를 시작하기도 전에 곧바로 가해자를 해고했다. 그녀는 3개월간 정신치료를 받은 후 복직했다.

한 학생은 집단폭력 피해자였다. 담임교사는 ‘학교폭력대책위에 꼭 올려야겠느냐’고 물었다. 더 안 좋은 일이 생길까 걱정이라고, 다른 학생들의 피해는 없다고 했다. 부모는 전문가의 조언을 듣고 교감을 만났다. 교감은 가해 학생들이 학교에 나오지 못하게 했다. 그러자 여러 아이가 줄줄이 피해 사실을 알리고 나섰다.

최숙현 선수가 절망한 상황은 근래 보기 힘들게 최악이었다. 얼마나 심각했으면 폭행당하는 상황을 녹음까지 했을까. 녹취록을 제출했는데도 몇 달간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 경찰은 가해자를 불구속 기소했다. 그리고 이들은 아무 일도 없다는 듯이 출근했다.

이건 자살 문제가 아니다. 되풀이되는 폭력 그리고 폭력을 용인하는 구조가 만든 사회적 타살이다. 현실에 절망한 피해자들은 해결을 위한 유일한 방법으로 죽음을 생각한다. 이들을 살리려면 ‘정의’가 먼저다.

정말 심한 트라우마를 겪은 피해자들은 자신의 고통을 세세히 이야기하지 않는다. 오히려 표정이 없어 보이고 트라우마 이야기를 피한다. 그러다가 신뢰가 쌓여 이야기를 꺼낼 수 있게 되면 그 반응은 폭발적이다. 어쭙잖게 ‘죽을 용기로 다른 일에 도전하라’는 식으로 대하는 건 이들을 더 절망스럽게 할 뿐이다.

폭력 피해자가 주변에 있다면 주의 깊게 배려하고 들어 주는 게 먼저다. 자살을 생각하는지도 꼭 물어봐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1393 자살예방상담전화를 통해 조언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최소한 오늘만은 그게 문제가 아니다. 가족도 주변도 모두 피해자다. 그들의 책임이 아니다. 현실이 바뀌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그들을 위로할 것인가. 정의가 없는데 어떻게 치료를 한단 말인가.
2020-07-07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