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맥주·소주, 18년 만에 ‘마트용·가정용’ 구분 없앤다

맥주·소주, 18년 만에 ‘마트용·가정용’ 구분 없앤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0-05-19 16:25
업데이트 2020-05-19 16: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음식값 안 넘는 범위에서 주류배달 허용
이미지 확대
서울 중구 봉래동 롯데마트 서울역점의 식음료 코너에 소주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서울 중구 봉래동 롯데마트 서울역점의 식음료 코너에 소주가 진열돼 있다. 연합뉴스
오는 7월부터 소주와 맥주의 가정용·마트용 구분이 사라지고 가정용으로 통일된다. 2002년 용도표기 규정을 만든지 18년 만에 구분이 사라지는 것이다. 또 배달음식과 주류를 함께 주문할 경우 음식값보다 적은 범위에서 주류 배달이 허용된다.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은 19일 이런 내용의 주류 규제개선방안을 발표하고, 오는 7월부터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주류 통신판매에 관한 명령위임 고시를 개정해 7월부터 음식점이 전화나 휴대전화 앱 등을 통해 음식과 함께 주류를 주문받아 배달하는 경우 주류가격이 음식 가격보다 작은 경우에 한해 판매를 허용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는 음식점이 음식에 부수해 주류를 배달하는 게 허용돼 있었지만, ‘부수’의 범위가 불명확해 현장에서 혼란의 소지가 있었다. 앞으로는 치킨에 생맥주를 주문받아 배달할 경우 생맥주는 치킨 가격 이하로만 판매가 가능하다.

정부는 또 하반기부터 소주와 맥주의 가정용과 대형매장용 등 구분을 없애고 가정용으로 통일한다. 지금까지는 같은 제품인데도 슈퍼마켓, 편의점, 주류백화점에서 판매하는 가정용과 대형마트에서 판매하는 대형마트용이 구분돼 있어 재고관리에 따른 비용이 발생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2002년 용도표기 규정을 만든 것은 할인매장에서 주류를 대량으로 사들여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엔 부가가치세 탈루를 막기 위한 조치로 도입했지만, 이후 주류 제조업체의 ‘라벨’ 제작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규제 개선 목소리가 높았다. 이에 따라 하반기부터 맥주와 소주 제조업체의 재고관리비용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정부는 연말까지 주세법을 개정해 주류제조장에서 판매 목적이 아닌 경우 면허받은 주종 외 주류제조를 허용한다. 이렇게 되면 특정 소주 제조업체가 양조장 견학 고객들에게 자사 소주를 활용한 다양한 칵테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제조면허가 없는 주류를 제조할 경우 제조면허를 취소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23일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국가대표 전통주 소믈리에들이 전통주 발효제(누룩과 효모)로 만든 막걸리를 시음하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주류제조면허를 보유한 양조장들을 대상으로 무상으로 전통주 발효제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 제공
23일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가운데 국가대표 전통주 소믈리에들이 전통주 발효제(누룩과 효모)로 만든 막걸리를 시음하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은 주류제조면허를 보유한 양조장들을 대상으로 무상으로 전통주 발효제를 지원하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 제공
정부는 이와 함께 종량세로 주세를 신고하는 주종인 맥주와 막걸리의 경우 가격신고 의무를 폐지하기로 했다. 전통주 저변 확대를 위해 시음행사를 늘리고, 전통주 양조장 투어 활성화를 위한 세제헤택도 준다.

정부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전통주 홍보관 등에서도 주류 소매업 면허를 가진 경우 시음행사를 허용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주류 시음행사는 주류 제조·수입업자에 한해 허용돼 왔다.

정부는 전통주 양조장 투어 활성화를 위해 전통주와 소규모 주류 제조장에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직접 판매하는 주류에 대해 주세를 면제할 계획이다.

하반기부터 주류판매기록부 작성 의무가 부과되는 대형매장 기준은 1000㎡ 이상에서 3000㎡ 이상으로 완화된다. 대형매장에서는 같은 고객에게 1일 또는 1차례에 맥주 4상자(12병), 또는 소주 2상자(20병), 위스키 1상자(6병) 이상 판매하는 경우 주류판매 기록부를 작성해야 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