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산화폐 동백전 소상공인 지원 취지 무색…병원비 등 단순결제수단 전락

부산화폐 동백전 소상공인 지원 취지 무색…병원비 등 단순결제수단 전락

김정한 기자
입력 2020-05-13 14:23
업데이트 2020-05-13 14: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 지역화폐 동백전이 단순 결제 수단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부산시는 소상공인 등에게 도움을 주고자 지난해 12월 말부터 동백전을 발행하고 있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지난해 12월 말부터 지난달까지 결제된 동백전 4천540억원의 사용처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 35.5%,보건·의료 19.4%,쇼핑·유통 13.9%,교육 8.7%로 나타났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보건·의료 분야에 사용된 882억원 가운데 242억원은 치과와 피부과 등에서 결제된 금액이다.

교육비 결제액 392억원 중 136억원은 입시학원과 보습학원에 사용됐다.

경실련은 이처럼 비생계형 고액지출 업종에 동백전이 주로 사용되면서 지역 영세 소상공인에게 도움을 주기 위한 원래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쇼핑·유통 소비액 629억원 가운데 편의점 사용액이 179억원에 달했다.

편의점은 다양한 물건이 있고,접근성도 좋은 업종에 해당하는데 굳이 지역화폐로 지원할 필요가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규모별 사용 현황을 보면 50만원 이하 소액 결제가 32.2%를 차지했지만, 50만∼100만원 구간과 100만원 초과 결제가 67.8%에 달했는데 이는 캐시백 혜택을 한꺼번에 누리기 위해 이용자가 고액 결제를 선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경실련은 적은 금액을 사용할수록 캐시백 요율을 높이고 많은 금액을 사용할 때 요율을 낮추는 하후상박식 혜택을 줘야 지역 소상공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데 부산시가 이 같은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고 지역화폐를 도입했다고 주장했다.

동백전 가입자 가운데 50대와 60대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18%와 11% 불과했다.이는 애플리케이션 가입이 필수인데 컴퓨터 등에 익숙하지않은 노인층의 접근이 어려웠기때문이다. 이 역시 동백전 도입 과정의 준비 부족이라고 지적했다.

경실련관계자는 “ 지속 가능성 있는 대안으로 부산시가 ‘공공 모바일마켓’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 역시 이용 한도와 캐시백 혜택이 줄어든 상황에서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라며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부산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