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류지영의 중국 들여다 보기] ‘패왕별희’ 같은 영화를 다시 볼 수 있을까

[류지영의 중국 들여다 보기] ‘패왕별희’ 같은 영화를 다시 볼 수 있을까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0-05-10 17:22
업데이트 2020-05-11 11: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류지영 국제부 차장
류지영 국제부 차장
중국에서 개혁개방의 여명이 타오르던 1970년대 후반. 불 꺼진 베이징의 한 체육관으로 경극 분장을 한 남자 두 명이 들어왔다. 한때 배우로 국민적 인기를 얻은 돤샤오러우(장펑이)와 청뎨이(장궈룽). 체육관 관리자가 이들을 알아보고 “문화대혁명(1966~1976) 분위기가 많이 누그러들었다”며 20여년 만에 경극 연기에 나선 두 사람을 위해 조명을 밝혔다.

40대 이상이라면 여기까지만 말해도 금세 알아챌 것이다. 최근 감독판으로 재개봉한 영화 ‘패왕별희’(1993)다. 지금 ‘기생충’(2019)이 국제영화상을 싹쓸이하며 아시아 영화의 저력을 과시하듯 30년쯤 전에는 이 영화가 그랬다. 당시 한국에서 ‘우리는 언제쯤 저런 영화를 만들까’라는 부러움이 컸다.

감독인 천카이거(68)는 중국 전통예술의 아름다움과 두 사람의 파란만장한 인생, 중국공산당의 과오 등을 ‘도도히 흐르는 장강(양쯔강)처럼’ 담대하게 담아냈다. 오랜 시간이 지났어도 이 영화가 생명력을 얻어 회자되는 이유다. 패왕별희에는 경극학원 앞에 버려졌다가 청뎨이가 거둬 키운 양자 샤오쓰가 나오는데, 감독 자신의 페르소나(분신)다.

영화 속 샤오쓰는 마오쩌둥(1893~1976)의 숭배자로 부모나 다름없던 청뎨이를 반동분자로 맹비난한다. 실제로 천 감독도 중학생 때 문혁을 겪으며 홍위병에 참가해 아버지를 비판했다고 한다. 부끄러운 개인사를 반성하고자 의도적으로 샤오쓰라는 인물을 넣었다.

이렇듯 천 감독 자신과 공산당에 대한 깊은 성찰의 메시지를 담은 이 영화는 당시 본토에서 개봉되지 못했다. 동성애와 마약 등 소재가 풍속을 해친다는 이유였지만 실제로는 공산당의 과오로 평가받는 문혁을 비판적으로 그렸기 때문이라는 설이 중론이다. 당국은 중국 사회를 삐딱하게 보려는 천 감독에 대해 연출권 박탈 등의 조치까지 검토한 것으로 전해진다. 톈안먼 사태(1989) 직후여서 정부의 압박과 검열이 상당했을 텐데, 감독이 그런 상황을 줄타기하며 어렵사리 작품을 완성했다는 사실이 대단하게 느껴진다.

젊은 안과의사이자 열성 공산당원이던 리원량(1986~2020)은 지난해 말부터 후베이성 우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이 퍼지고 있다는 사실을 가장 먼저 소셜미디어에 알리고 당국의 조사를 촉구했다. 하지만 그는 되레 악성루머를 퍼뜨렸다는 혐의로 경찰 조사를 받고 반성문을 써야 했다. 리원량은 자신이 처음 세상에 알린 바이러스로 고통받는 우한 주민들을 치료하다가 감염병에 걸려 지난 2월 세상을 떠났다.

우한에 사는 작가 팡팡(65)은 2010년 루쉰 문학상을 수상한 유명인사다. 루쉰 문학상은 공산당 혁명 이념을 구현한 작가에게 주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그는 올해 1월 코로나19로 우한이 봉쇄된 뒤부터 당국이 봉쇄 해제 일정을 공개한 날까지 60일간 하루도 빠짐없이 인터넷으로 현지의 참상을 알렸다.

여기에는 감염병 확산 초기 소극적으로 대처하다 사태를 키운 정부와 이를 묵인한 언론에 대한 질타도 담겨 있었다. 그가 쓴 ‘우한일기’에 지지 의사를 밝힌 학자들은 당국에 불려가 조사를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천 감독과 리원량, 팡팡은 반체제 인사가 아니다. 중국이 더 나은 방향으로 가길 바라는 마음에서 개인적 불이익을 감수하고 용기를 낸 것뿐이다. 이제 중국은 명실상부한 주요 2개국(G2)이다.

체제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국가에 대한 애정 어린 비판에는 열린 자세로 대응해도 될 듯한데, 시진핑 국가주석 하에서 언론과 예술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면서 이런 목소리가 갈수록 작아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 중국에서 ‘패왕별희’ 같은 영화를 언제쯤 다시 볼 수 있을까.

superryu@seoul.co.kr
2020-05-11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