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민주당 대표 소신파 김해영 의원이 지도부와 초선들에 주는 마지막 쓴소리

민주당 대표 소신파 김해영 의원이 지도부와 초선들에 주는 마지막 쓴소리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0-04-28 15:43
업데이트 2020-04-28 1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연합뉴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연합뉴스

“경우에 따라서는 99명이 ‘예’라고 하더라도 잘못된 일에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 김해영(43) 의원은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울신문과 인터뷰하며 21대 국회에 입성하는 민주당 초선 의원들에게 무엇보다도 ‘소신’을 강조했다. 20대 국회 민주당에서 가장 젊은 의원으로 최고위원까지 오르며 청년층을 대변해왔던 김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인 부산 연제구에서 패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더불어시민당 창당 등 당 안팎이 혼란스러울 때 ‘쓴소리’를 도맡아왔던 김 의원처럼 21대 국회에서 ‘제2의 김해영’이 나올 수 있을지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김 의원은 “이번에 초선 의원도 많고 젊은 의원들도 많은데 소신 있는 목소리를 내는 분들이 많이 나와줄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며 “젊은, 초선 의원이라도 선수에 주눅이 들 필요 없이 본인의 생각과 견해를 분명히 밝혀주는 것이 국회의원이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조 전 장관 사태에서 당내 주류와 다른 목소리를 낸 데 대해 “보수세가 강한 지역의 분위기를 의식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당 주류와 다른 의견을 내는 것은 정치인으로서 부담스럽고 안 하고 싶었지만 그래도 했던 이유는 정치를 시작하면서 세웠던 목표 중 하나로 부모의 소득이 자녀에 대물림되는 걸 끊는 것을 의정 활동의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런 사람으로서 아무 말 하지 않는 것은 국회의원으로서 책무를 않는 것이라 생각했다”며 “이후에도 젊은 의원으로서 가능하면 국민의 평균적 눈높이에서 중요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려고 노력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처럼 소신성 발언을 하다 항의 전화와 문자메시지를 수천 통씩 받은 적도 있다고 털어놨다. 그는 “항의하시는 분들도 국민의 한 의견이기 때문에 존중하며 경청해야 한다”면서도 “어느 조직이든 다양해야 건강하고 생명력 있는 정당이기 때문에 우리 당의 외연을 확장시켜 나가기 위해서라도 다양한 의견이 꼭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김 의원은 민주당이 거대 여당이 된 때일수록 신중하고 절제된 언행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국회의원들이 언론 노출과 지지자들 환호를 받기 위해 자극적인 발언을 많이 할수록 상대방의 자극적 발언을 유도할 수 있다”며 “정치가 갈등을 조정하고 공동체를 통합시키는 역할을 해야 하는데 여당으로서 절제된 언행을 유지하면서 여러 가지 국정 과제들을 실현시키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4년의 의정 활동 기간 가장 잘한 일로 청년기본법을 통과시킨 것을, 가장 아쉬운 일로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을 의무화하도록 한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한 것을 각각 꼽았다. 그는 “정책적으로는 교육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국정감사에서 미성년자 논문 공저자 문제, 자소서 표절 등의 문제점을 제기했고 학생부 종합전형의 불공정성에 대한 개선책을 이끌어낸 것에 대해 보람을 느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당분간 지역에 머물며 주변을 챙기는 시간을 갖겠다고 했다. 김 의원은 “최고위원을 맡았던 사람으로서 또 시민으로서 변호사로서 공익적 역할이 있다면 작은 역할이라도 해나갈 계획”이라며 “개인적으로는 4년 동안 제대로 돌보지 못한 세 아이의 아빠로서 시간을 보내려고 한다”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