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19 환자 100만명 넘어, 이탈리아 치명률 12.07%

코로나19 환자 100만명 넘어, 이탈리아 치명률 12.07%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4-03 05:03
업데이트 2020-04-03 07: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에 걸린 환자가 100만명을 넘겼다. 지난해 12월 31일 중국 우한에서 첫 코로나19 발병 사례가 나온 지 석 달이 조금 지나서다.

AFP 통신이 2일(현지시간) 자체 집계를 토대로 이같이 보도했고,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은 3일 오전 4시 24분(한국시간) 기준 181개 나라와 지역의 코로나19 확진자를 100만 2159명, 사망자를 5만 1485명으로 집계했다. 무증상 환자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감염자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감염자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관측된다. 50만명의 감염자가 곱절이 되는 데 일주일 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탈리아 보건당국은 2일 오후 6시(현지시간) 기준으로 전국 누적 확진자가 11만 5242명으로 전날보다 4668명(4.2%) 증가했다고 밝혔다. 나흘째 4000명대 늘었는데 전날(4782명)보다 소폭 줄었다. 누적 사망자는 760명(5.8%) 증가한 1만 3915명으로 파악됐다. 하루 신규 사망자가 727명이었던 전날보다 33명 늘었다. 누적 확진자 대비 누적 사망자를 뜻하는 치명률은 12.07%로 또 올라 세계에서 가장 높다.

누적 완치자는 1만 8278명으로 전날보다 1431명(8.5%) 늘었고, 중증 환자가 4035명으로 18명(0.4%) 증가에 그친 것도 고무적이다.

주세페 콘테 총리는 “바이러스와 공존하는” ‘2단계 대응’을 언급했다. 콘테 총리는 이날 스페인 방송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가능한 한 빨리 현재의 비상시국에서 빠져나오길 희망한다”며 “우리는 이미 바이러스를 관리하는 새로운 단계를 준비하고 있다. 봉쇄 조처를 일부 완화하되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가는 것을 배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급한 불을 끄는 긴급 방역을 마무리한 뒤 바이러스 불씨가 언제든 되살아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점진적으로 경제·사회 활동을 정상화하겠다는 취지다. 콘테 총리는 다만 현재의 불길을 언제 완전히 잡을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며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스페인도 이탈리아에 이어 두 번째로 사망자 1만명을 넘겼다. 전날보다 950명 늘어 1만 3명을 기록했다. 이 나라 보건 당국이 집계를 시작한 이후 이날이 가장 많았다.

확진자는 11만 238명으로 전날보다 6120명이 늘었다. 사망자와 확진자가 여전히 큰 폭으로 늘고 있지만 당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정점을 지나 안정화 국면에 들어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일일 확진자 증가율은 조금씩 낮아지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 증가율은 7.9%로, 전날의 8.2%보다 소폭 낮아졌고, 신규 사망자 증가율도 전날의 10.6%에서 이날 10.5%로 미세하게 하락했다.

마드리드 일대의 사망자는 4175명으로 전체의 40%에 이르며 확진자도 전체의 30%에 가깝다.

독일의 확진자 수가 8만명을 넘어선 데다 확산세가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차이트 온라인의 자체 집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기준으로 누적 확진자는 8만 499명, 누적 사망자는 990명이다. 회복 환자 수는 1만 3343명이다.

일일 신규 확진자는 전날보다 5999명이 늘어났다. 지난달 28일 5889명을 시작으로 다음날 4304명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30일 4311명, 31일 4832명으로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치명률은 1.2%로 올라갔다. 지난주 초만 해도 치명률은 0.5% 수준이었다. 요양원에서 집단 감염이 잇따라 발생하는 등 노령층의 감염 비율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캐나다가 1만 182명으로 한국을 추월해 한국은 세계에서 15번째로 감염자가 많은 나라가 됐으며, 인도네시아(170명)에 자리를 양보하고 한국(169명)은 17번째로 사망자가 많은 나라로 내려 앉았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