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권역별 판세 분석1]총선 승패 가를 ‘바로미터’ 서울

[권역별 판세 분석1]총선 승패 가를 ‘바로미터’ 서울

이근홍 기자
입력 2020-04-02 17:11
업데이트 2020-04-02 17: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 49석 중 민주 35~40석·통합 15~20석 목표

이미지 확대
4.15 총선 공식 선거운동 개시일인 2일 서울 종로구 세검정삼거리에 후보들의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0.4.2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4.15 총선 공식 선거운동 개시일인 2일 서울 종로구 세검정삼거리에 후보들의 홍보 현수막이 걸려 있다. 2020.4.2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총 49개의 의석이 걸린 서울은 21대 총선에서 여야의 승패를 가를 ‘바로미터’로 꼽힌다. 서울 유권자들의 선택은 2년 뒤 대선까지 강하고 길게 정치권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념 색채가 짙지 않은 서울은 역대 총선에서 특정 정당에 표를 몰아주지 않는 비교적 합리적 투표를 해왔다.

17대 총선 때는 더불어민주당 전신인 열린우리당(32석)이 미래통합당 전신인 한나라당(16석)을 앞섰지만, 18대 때는 한나라당(40석)이 통합민주당(7석)을 압도했다. 최근인 19대(새누리당 16석, 민주통합당 30석)와 20대(새누리당 12석, 더불어민주당 35석, 국민의당 2석) 때는 모두 민주당이 승리했다.

이번 선거에서도 서울은 가장 민심을 가늠하기 어려운 지역으로 평가된다. 여야 모두 현재 서울에서 보유하고 있는 의석 수 이상을 거머쥐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지만 박빙 승부처가 많아 어느 쪽도 승리를 예단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민주당과 통합당의 서울 지역 판세 분석을 종합해보면 여당인 민주당(현재 35석)은 35~40석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고, 제1야당인 통합당(11석)은 접전지에서 승리를 거둬 20석대 진입을 노리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국정 지지도를 등에 업은 민주당은 현재의 선거판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코로나19사태 악화나 막말 논란 등의 변수가 없는 한 종로·서대문갑·노원을·은평갑·구로을 등 15곳에서 확실한 승리를 예상하고 있다.

민주당 수도권 선거대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인영 원내대표는 2일 “현재 판세는 민주당이 유리한 상황으로 평가한다”며 “최대한 많은 곳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유권자가 도와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반면 통합당은 강남갑·강남을·강남병·서초갑·서초을·송파갑 등 6곳을 승리를 장담하는 ‘우세’ 지역으로 분류했다. 우세 지역 수는 민주당보다 적지만 30곳에 달하는 지역이 격전지로 평가되고 있는 만큼 힘든 싸움 끝에 열매를 수확하겠다는 계획이다.

신세돈 공동선대위원장은 “지금은 여론조사 등에서 민주당이 유리한 것으로 나오고 있지만 총선까지는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기 때문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며 “결국 서울에서는 대부분 5% 이내 초박빙 승부가 벌어질텐데 우리가 경제 문제 등을 잘 공략하면 바람을 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광진을(민주당 고민정-통합당 오세훈), 송파을(민주당 최재성-통합당 배현진), 동작을(민주당 이수진-통합당 나경원) 등은 여야가 모두 초접전지로 꼽는 지역이다.

민주당 이낙연 후보와 통합당 황교안 후보가 격돌하는 종로는 ‘미니 대선’으로 불릴 만큼 이번 총선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역이다. 나란히 국무총리 출신이자 여야 유력 대권주자인 두 후보 중 정치1번지 종로에 누가 깃발을 꽂느냐에 따라 각당 총선 결과에 따라붙는 의미도 달라질 전망이다.

이 후보는 “더 겸손하고 절실한 자세로 국민의 마음을 얻는 노력이 중요하다. 한시도 방심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황 후보는 “조국 사태를 보면서 이 정권 위선의 진면목을 봤다. 이런 정권 밑에서 우리가 그냥 살 수 있나. 변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창렬 용인대 교양학부 교수는 “서울 선거는 사전 여론조사 등이 무의미하다”며 “총선 당일까지 누가 리스크 관리를 잘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이라고 했다.

이근홍 기자 lkh2011@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