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똑똑 우리말] 난도와 난이도/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난도와 난이도/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0-04-01 23:12
업데이트 2020-04-02 04: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오는 9일부터 순차적으로 ‘온라인 개학’을 실시하기로 했다. 학사 일정이 6주 가까이 미뤄지면서 11월 19일 예정이던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도 12월 3일로 2주 연기됐다. 수능이 12월에 치러지는 것은 1993년 도입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측은 수능 연기와 관련, “난이도가 예민한 문제이긴 한데 어떤 식으로 난이도를 조절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기보다 예전 수능 난이도를 유지한다는 게 기본 방침”이라며 “6월과 9월 모의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적정한 난이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수능을 ‘불수능’이나 ‘물수능’으로 부르기도 한다.

‘불수능’은 난도(難度)가 매우 높은 수능을 나타내는 말이다. 거꾸로 ‘물수능’은 난도가 너무 낮은 수능을 말한다. 더 쉬운 ‘맹물 수능’도 있다. 그런데 가끔 “이번 수능 난이도가 너무 높았어”처럼 ‘난도’를 써야 할 자리에 ‘난이도’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난이도(難易度)는 난도와 이도를 합친 낱말이다. 난도는 어려움의 정도를, 이도는 쉬움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니 난도와 난이도는 똑같은 의미로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다. 고난도(高難度)라는 낱말에서 알 수 있듯 어렵다는 뜻으로는 ‘난도가 높다’라고 해야 한다. 난이도는 “영역별로 난이도가 다르다”와 같이 써야 맞다.

oms30@seoul.co.kr
2020-04-02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