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0세 비혼 여성’ 30년 새 10배 늘었다

‘40세 비혼 여성’ 30년 새 10배 늘었다

장은석 기자
입력 2020-03-30 22:10
업데이트 2020-03-31 02: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재 12%… 향후 18~19%까지 늘 듯

“장기 고용불안·높은 주거비 등 영향”
작년 합계출산율 0.92명… 무자녀↑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여성 중 12%가량은 만 40세까지 결혼을 하지 않고 있고 이런 ‘비혼 여성’의 비율이 앞으로 18~19%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해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30일 통계개발원의 ‘KOSTAT 통계플러스’를 통해 이런 내용의 ‘혼인 이행과 생애 비혼의 동향과 특징’ 보고서를 발표했다.

통계청의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자료에 따르면 1974년생 여성 중 만 40세가 된 2014년까지 결혼하지 않은 비율이 12.1%나 됐다. 우 연구위원은 이처럼 만 40세까지 결혼하지 않은 걸 ‘생애 비혼’이라고 했다. 생애 비혼 비율은 1944년생 여성(1.2%)과 비교해 30년 새 10배 넘게 뛰었다.

우 연구위원은 “결혼을 꼭 해야 한다는 규범이 지배적이었던 한국 사회에서 저출산 현상과 맞물려 혼인 이행 과정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2012~2014년 혼인 이행 패턴이 앞으로도 지속된다면 만 40세 기준 생애 비혼 여성의 비율은 향후 18~19%까지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결혼하지 않는 여성이 늘어남과 동시에 결혼해도 아이를 낳지 않는 여성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수)이 0.9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출산율이 하락하는 배경에는 비혼과 함께 무자녀 가구가 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박시내 통계개발원 경제사회통계연구실 사무관이 발표한 ‘첫 출산으로의 이행과 무자녀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생 기혼 여성의 무자녀 비율은 12.9%였다. 1920~1960년생 2.0~3.0%, 1970년생 4.8%와 비교하면 가파르게 늘었다. 박 사무관은 “저출산의 근본 원인은 청년층이 결혼을 기피하고 아이를 낳으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청년층의 장기 고용 불황, 높아지는 주거비, 높은 자녀 양육비 등으로 결혼은 수용하나 출산은 선택으로 여기는 무자녀 가정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20-03-31 1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