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앉아 있는 편안함, 사실은 소리 없는 위협자

앉아 있는 편안함, 사실은 소리 없는 위협자

김성호 기자
입력 2020-03-26 20:54
업데이트 2020-03-27 02: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자의 배신/바이바 크레건리드 지음/고현석 옮김/아르테/492쪽/2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인류의 역사는 편안하고 풍성한 삶을 향한 끊임없는 도전의 궤적이다. 되도록이면 덜 고생하면서 더 좋고 많은 것을 손에 넣기 위한 투쟁의 점철인 셈이다. 그런데 똑똑하고 지성을 갖춘 인류라는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왜 거듭된 문명과 의학의 발전에도 여전히 아픈 몸과 마음을 떨쳐낼 수가 없는 걸까.

영국 출신 작가이자 학자인 바이바 크레건리드는 ‘의자의 배신’에서 바로 그 점을 파고든다. 그의 지론대로라면 요즘 인간은 헛똑똑이다. 똑똑하지만 풍부한 지식이나 음식, 환경의 편안함에 잘 어울리지 못하는 ‘호모 사피엔스 이넵투스’(Homo spiens ineptus)인 것이다.

크게 보면 인류는 지금까지 세 번에 걸쳐 혁명적인 생활 변화를 겪어 왔다. 수렵에서 농경으로의 정착생활이 첫 번째고 그다음은 산업혁명, 그리고 요즘처럼 육체노동보다는 정신적 노동이 대세인 사무노동의 지배로 압축된다.

그 혁명적인 변화는 삶의 질 측면에선 향상이란 말로 압축되지만 반대의 부정적인 퇴보도 동반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관절 질환이며 바이러스성 감염병, 기후변화에 따른 호흡기 질환 같은 각종 질병의 창궐로 인한 고통이 대표적인 것들이다.

인류는 잘 알려진 대로 두 발로 걷고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되면서 진정한 인류로 진화할 수 있었다. 그런데 수렵채집 생활을 끝내고 정착하면서 신체가 변하기 시작했다. 줄어든 운동량과 탄수화물 위주의 먹거리는 신장을 줄였고 뼈를 얇게 했다. 농경·가공·저장 기술이 발달하면서 새로운 직업들이 나타났고 도시화가 진행됐는데 도시 내 농업이 발전하고 인간과 동물의 관계가 가까워지면서 결핵 같은 인구밀집성 질병이 증가하고 새로운 바이러스가 만들어질 확률도 높아졌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시의 풍족함은 인간의 굶주림은 해결해 줬을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인간의 능력을 점점 더 저하시켰다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저자는 특히 사무노동은 이전의 노동과는 다르게 쾌적하고 안전한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의 몸은 오히려 질병 유발 위험에 지속적으로 노출된다고 말한다. 실제로 천식은 일터가 자연스럽게 환경에 노출될 기회를 빼앗아 각종 알레르기에 극도로 예민하게 반응하도록 면역 체계를 무력하게 만든 대표적인 결과라는 것이다.

6000년 전 그리스, 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에서는 막대한 부와 권력의 상징으로 의자 모양이 사용됐다. 하지만 의자가 대중에게 널리 퍼진 건 산업혁명을 거치면서다. 산업혁명기부터 사람들이 편안함과 여가를 갈망하게 되면서 푹신푹신한 천으로 감싼 의자가 도입되고 이후 영화, TV, 컴퓨터 게임이 발명되면서 좌식 생활이 심화됐다. 사무노동자의 경우 하루에 단 1㎞도 안 움직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의자의 배신’은 바로 인류가 편안해지려 찾아낸 ‘앉은 자세’의 문제점을 말한다. 앉아서 일하는 노동자는 등 근육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등 근육이 점점 약해진다. 근육이 약해지면 관절 이상으로 척추 구조가 바뀔 수도 있다.

저자는 ‘의자의 배신’처럼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한 기술과 문명의 발달이 오히려 더 많은 질병을 일으켰다고 거듭 주장한다. 편안한 것을 가장 좋은 것으로, 빠르고 쉬운 것을 이상적인 것으로, 좋게 느껴지는 것을 진짜 좋은 것으로 계속 잘못 판단해 왔다는 것이다.

“물고기의 아가미처럼 고도로 적응된 기관은 물속이 아닌 다른 환경에선 아무 쓸모가 없다.” 주변 환경과 잘 맞지 않는 유전암호는 그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 문제를 일으킨다고 거듭 강조한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각종 질환을 개인의 문제로 돌릴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 온 환경으로 인해 발생했다는 점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 환경을 바꾸기 위한 노력들을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20-03-27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