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In&Out] 코로나19로 77년 만의 부자 상봉 미뤄질까 걱정/황동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운영관리국장

[In&Out] 코로나19로 77년 만의 부자 상봉 미뤄질까 걱정/황동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운영관리국장

입력 2020-03-22 20:58
업데이트 2020-03-23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황동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운영관리국장
황동준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운영관리국장
중국 우한에서 발병한 코로나19로 전 세계 모든 나라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가히 세계대전급 전시태세에 돌입한 양상이다. 실제 전쟁은 더욱 끔찍하다. 전쟁으로 가족을 잃은 슬픔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남의 나라 전쟁터로 강제로 끌려가 고통 속에 죽어 간 국민의 고통은 어떠했겠는가. 더구나 유해마저도 온전히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다면 이들의 원혼을 어떻게 달래 줄까.

정부는 2018년 11월 행정안전부 산하기관인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에 강제동원희생자유해봉환과를 신설했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됐다가 귀국하지 못하고 이역만리에서 세상을 떠난 희생자의 유해를 국내로 봉환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국외로 강제동원된 인원은 징용을 포함해 125만명으로 추산된다. 1950년 11월까지 약 104만명이 귀환했지만 현지 체류 또는 귀환 과정에서 희생된 조선인은 약 20만명이나 된다.

1946년 이후 지난해까지 국내로 봉환된 유해(위패 포함)는 약 1만 1000위. 고국으로 돌아오고 싶어도 돌아올 수 없는 이들의 원혼을 풀어 드리는 일은 국가가 당연히 짊어져야 할 책무다. 지난해 정부는 이들 희생자의 유해 봉환을 위해 분주히 현장을 누볐다. 일본, 미국, 러시아, 중국을 비롯해 태평양전쟁터였던 관련국과 유해 봉환 문제를 협의했다. 한국인 추정 유해를 발굴했다는 소식이 들리면 유족과 신원 확인 절차를 밟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유전자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했다.

태평양 적도 남쪽에 인구가 10만명가량 되는 키리바시공화국이란 작은 나라가 있다. 태평양전쟁 당시 이곳 타라와 베티오섬을 두고 미국과 일본은 1943년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교전 인원은 미국이 약 3만 5000명, 일본은 약 4800명이었다. 72시간 동안 벌어진 전투에서 미군ㆍ일본군 전사자는 6400명가량 발생했다. 일본군은 대부분 전멸했다. 일본군 사망자 가운데 1200여명은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 징용자들이었다.

정부는 미국과 일본의 협력으로 한 분의 희생자 유해를 기적적으로 확인했다. ‘타라와 46번’이라는 이름 없이 번호로 매겨졌던 유해는 이제 대한민국 국민 ‘최병연’이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고인의 유족을 찾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유족은 현재 전남 영광군에서 살고 있다.

일본 정부가 1971년 제공한 ‘피징용사망자명부’ 자료도 부실하고 유족의 유전자검사 신청도 적어 희생자의 유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낙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희망을 놓지 않고 부단히 애쓴 결과다.

정부는 당초 5월 중순 최병연 어른의 유해를 국내로 모셔 올 계획이었다. 그런데 급작스레 닥친 코로라19 사태로 언제 봉환할 수 있을지 막막하다. 최병연 어른이 전쟁터로 끌려갈 때 100일이 채 안 되던 아들은 70대 노인이 돼서도 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있다. 코로나19가 하루속히 소멸돼 두 부자가 상봉할 날을 손꼽아 기다린다.
2020-03-23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