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 휴직’ 30% 급증… 택배 일자리 늘고 숙박음식업 울었다

‘코로나 휴직’ 30% 급증… 택배 일자리 늘고 숙박음식업 울었다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0-03-11 22:44
업데이트 2020-03-12 02: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월 고용시장 ‘코로나 충격파’ 본격화

취업자, 석달 연속 40만명대 증가했지만
일시휴직자 14만명… 8년5개월來 최대폭
노인 일자리 연기·무급휴직 늘어난 영향

숙박·음식업 0.6%, 도소매업 -2.9% ‘타격’
배달 수요 증가로 운수·창고업은 7% 증가
이미지 확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파가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달 ‘일시 휴직자’는 30% 가까이 급증해 8년 5개월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고, 관광객이 줄면서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쪼그라들었다.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고용은 악화된 반면, 배달 수요 증가로 운수·창고업 부문에선 취업자가 늘었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683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49만 2000명 늘었다. 증가폭은 지난 1월(56만 8000명)보다 줄었지만 석 달 연속 40만명대 이상 증가를 이어 갔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0%, 15~64세 고용률은 66.3%로 2월 기준으론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하지만 49만 2000명에는 일시 휴직자 14만 2000명도 포함돼 있다. 통계청은 일시적 질병이나 사고, 연가, 교육 등으로 일하지 못했지만 복귀가 확실한 일시 휴직자를 취업자에 포함한다. 지난달 일시 휴직자가 전년 동월 대비 14만 2000명(29.2%) 증가한 것은 2011년 9월(32만 4000명) 이후 8년 5개월 만에 최대폭이다. 지난달 전체 휴직자 규모(61만 8000명)도 2010년 2월 이후 10년 만에 가장 많았다. 일시 휴직자 증가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연기되거나 무급휴직이 늘어난 영향으로 추정된다.

은순현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노인 일자리 사업은 올 1월부터 진행되다가 코로나19 영향으로 휴직 공고가 나서 2월 기준으로 잡히지 않은 게 있다”고 말했다.

●60대 이상 역대 최고… 40대는 52개월째 감소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업종 취업자가 1만 4000명(0.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증가폭이 지난해 10월부터 올 1월까지 8만 2000~11만 2000명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폭 쪼그라든 셈이다. 내외국인 관광객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10만 6000명(-2.9%) 감소해 전체 업종 중 가장 많이 줄었고, 학원·유치원을 포함한 교육서비스업 취업자도 1만명(-0.5%) 감소했다.

반면 운수·창고업 취업자는 9만 9000명(7.0%) 증가했다. 2013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큰 폭의 증가다. 은 국장은 “국민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로 택배를 많이 이용한 영향 때문”이라며 “국민들의 외출 자제 등이 도소매업종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취업자가 57만명 증가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노인 일자리 규모가 지난해 61만개에서 올해 74만개로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우리 경제의 허리인 40대 취업자는 10만 4000명 줄면서 52개월 연속 감소했다. 20대 취업자도 2만 5000명 줄어 21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관광객 감소 등으로 숙박·음식업이 타격을 입으면서 20대 아르바이트생이 줄어든 영향으로 해석된다.

●홍남기 “3월부터 고용하방 위험 확대될 것”

통계청의 2월 고용동향 조사는 코로나19 확진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기 이전인 지난달 9~15일 이뤄진 것이라 3월 고용지표는 더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일부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코로나19 영향이 감지됐다”면서 “이달부터는 코로나19 영향이 가시화되는 등 고용 하방 위험이 확대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0-03-12 2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