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GSP 원예 신품종 개발로 ‘종자 국산화’에 박차… 7년간 233건 개발

GSP 원예 신품종 개발로 ‘종자 국산화’에 박차… 7년간 233건 개발

입력 2020-02-26 17:18
업데이트 2020-02-27 1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골든시드프로젝트 원예사업단

씨앗과 사람들 ‘리치홍’
씨앗과 사람들 ‘리치홍’
정부가 고품질 원예 종자 개발을 통해 종자 국산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골든시드프로젝트(Golden Seed 프로젝트·GSP) 원예사업단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양배추, 양파, 토마토, 버섯, 백합, 감귤 6개 품목에서 233건의 신품종을 개발해 국내 매출 495억원, 수출 5228만 달러를 달성했다. 원예 분야에서 개발된 시장 맞춤형 우수 종자는 국내 매출뿐만 아니라 수출도 이뤄지고 있다.

국내 유통되는 수입산 양배추 품종을 대체하고자 내병성과 환경적응성 등이 우수한 49건의 신품종을 개발해 국내 판매는 물론 고가의 유럽 시장에도 진출했다. ‘대박나’, ‘윈스톰’, ‘홈런’ 등의 품종으로 현재까지 국내 매출 9억원, 수출 1900만 달러를 달성했으며 향후 수출시장을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양파는 시장규모가 큰 글로벌 작물임에도 외국품종이 대부분을 차지해 우수한 국산 품종 개발이 시급했다. 시장에서 평가가 좋은 ‘킹콩’, ‘리치홍’ 등 47건의 품종을 개발해 보급하고 있으며 국내 매출 209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K-star’와 강내한성 양파인 ‘신기2호’ 등은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에 현재까지 수출 872만 달러를 달성해 GSP 사업 이전 대비 약 20배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나종묘 ‘애플토마토’
가나종묘 ‘애플토마토’
토마토는 소과종의 경우 GSP 사업을 통한 신품종의 보급으로 국내시장 점유율이 30%에서 80%까지 상승했다. 또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저장성이 우수한 레드계 대과종 품종을 개발했다. 소과종인 ‘TY센스큐’, ‘TY시스펜’, ‘애플시리즈’, ‘Astom’ 및 대과종인 ‘찰스톤 TY’ 등 수확량이 많고 내병성이 강한 품종 31건을 개발해 현재까지 국내 매출 137억원, 수출 1159만 달러를 달성했고 국내 토마토 육종회사들의 경쟁력도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양송이 ‘새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양송이 ‘새한’
버섯은 중국에서 수입되는 종균 배지 등을 대체하기 위해 기능성이 강화된 고품질 품종을 개발했다. 양송이 품종 ‘새한’과 표고 ‘산조715’, 느타리 ‘곤지7호’ 등의 22개 품종을 개발해 농가 시험 재배 및 품평회 등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아 현재까지 종균 매출 5억 8000만원을 달성했다.

강원도 농업기술원 ‘오륜’
강원도 농업기술원 ‘오륜’
백합 구근은 대부분 네덜란드 품종이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국산 품종이 개발돼도 시장 보급 및 수출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저렴하고 우수한 국산 품종의 개발로 틈새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국내 판매 및 일부 수출도 하고 있다. ‘오륜(오리엔탈)’, ‘루시퍼(나팔나리)’, ‘리아송시리즈(분화백합)’등의 57건의 품종을 개발하고 현재까지 종구 매출액 7억 8000만원을 달성했으며 해외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우리타워’ 등 품종으로 중국, 몽골, 베트남 등에 4만 3000달러를 수출했다.

감귤은 일본 품종이 국내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개발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등 수입 대체가 어려운 품목이다. 그러나 원예종자사업단에서는 품종 개발과 동시에 전시포 운영을 하고 있는데 시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하례조생’, ‘써니트’, ‘탐나는봉’ 등의 품종을 중심으로 보급에 힘쓰고 있다. 또한 무독묘를 생산하고 보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현재까지 국내 매출 8300만원을 달성하고 시험 재배용 묘목을 호주에 일부 수출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도 진행 중이다.

사업단장인 노일섭 순천대 교수는 “GSP원예종자사업단과 참여 연구기관은 우수한 종자 개발로 국내 보급은 물론 수출을 위해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혼연일체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태곤 객원기자 kim@seoul.co.kr
2020-02-27 3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