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먹고살아야 하는데 하루아침에…” 일자리 잃은 다문화언어강사들

“먹고살아야 하는데 하루아침에…” 일자리 잃은 다문화언어강사들

오세진 기자
입력 2020-02-25 16:59
업데이트 2020-02-25 2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문화언어강사들이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 정문 앞에서 피켓을 들고 집회를 하는 모습.
다문화언어강사들이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서울교육청 정문 앞에서 피켓을 들고 집회를 하는 모습.
“당장 먹고살아야 하는데 하루아침에 쫓겨났어요.”

10년 넘게 서울에서 다문화언어강사로 일한 일본 출신 사카구치 하루미(55)씨는 지난 14일 한 통의 문자를 받았다. ‘배정된 학교가 없다’는 서울교육청의 통보였다. 이상했다. 그가 일하는 서울 관악구의 한 초등학교는 ‘사카구치씨가 계속 일하기를 원한다’는 신청서를 지난달 서울교육청에 제출했다. 사카구치씨도 재배정을 원했다. 일본, 베트남 출신의 다문화학생 80여명이 이 학교를 다니고 있다.

교육청은 끝내 학교의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사카구치씨는 일자리를 잃었다. 그는 “새학기를 앞두고 갑작스럽게 ‘해고’ 통보를 받으니 당황스럽다”면서 “학교를 배정받기까지 1년을 기다려야 하는데 어떻게 생계를 이어갈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서울 지역 다문화 언어강사의 상당수가 올해 근무지를 배정받지 못해 반발하고 있다. 매년 80명에 가까운 다문화 언어강사들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배정돼 근무했는데 올해는 9명이 배정을 못 받는 이례적인 일이 발생했다.

서울교육청은 2009년부터 외국 출신의 다문화 언어강사를 1년 계약직으로 채용한 후 희망하는 유치원과 각급 학교에 배치하고 있다. 25일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다문화 언어강사 79명이 유치원 2곳과 초등학교 65곳, 중학교 5곳, 고등학교 4곳 등에 배치됐다. 이들은 다문화 학생의 언어교육에 그치지 않고 한국문화 적응 교육, 상담 지원 및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이해교육도 수행한다.

‘다문화 학생 비중이 큰 학교에 우선적으로 배치한다’는 것이 그동안의 방침이었지만 서울교육청은 올해 기준을 강화했다. 다문화 학생 비율과 상관없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학생과 ‘출신국이 같은’ 다문화 언어강사만 두기로 한 것이다.

그 결과 의사소통이 어려운 중도입국 학생이 없거나 다문화 언어강사와 출신국이 같은 학생이 없는 유치원과 학교에는 다문화 언어강사가 배치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일본 출신 6명, 몽골 출신 2명, 인도네시아 출신 1명 등 총 9명의 다문화언어강사가 실직했다.

다문화 언어강사로 8년 이상 일한 인도네시아 출신의 안나 쿠수마(53)씨는 “그동안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로도 의사소통이 안 되는 중동 출신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돕고, 다른 일반학생들에게는 이슬람 문화를 가르쳐 학생들이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면서 “갑자기 ‘학교에 인도네시아 출신 학생이 없어서 배정할 수 없다’는 교육청의 설명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우리를 언어만 가르치는 기계로 보는 것 같다”라고 토로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우리나라에 처음 온 중도입국 학생과 외국인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했을 때, 주변 환경이 모두 낯설고 힘든 상황에서 아무래도 출신국이 같은 다문화 언어강사의 교육과 상담을 받는 것이 그 학생의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중도입국 학생과 외국인 학생이 우리나라 공교육에 조속히 잘 적응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중국·베트남 출신의 다문화 학생 비율은 늘고 있지만 몽골·일본 출신 다문화 학생은 줄고 있는 추세”라면서 “이번에 일본 출신 다문화 언어강사 배정을 신청한 학교가 많지 않았다. 학교들 신청대로라면 배정을 했다면 50명의 다문화 언어강사만 배정이 됐을 것이다. 한 명이라도 더 배정이 될 수 있게끔 한 것이 이번 결과”라고 설명했다.

글·사진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