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종 국새 돌아왔다

고종 국새 돌아왔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2-20 00:34
업데이트 2020-02-20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새 ‘대군주보’·효종어보 고국품으로

1990년대 말 매입한 재미교포가 기증
美서 14점 환수됐지만 73점 행방묘연
국립고궁박물관, 새달 8일까지 특별전
이미지 확대
문화재청은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재미교포 이대수씨로부터 지난해 12월 기증받아 최근 국내에 들여왔다고 밝혔다. 1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문화재청은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재미교포 이대수씨로부터 지난해 12월 기증받아 최근 국내에 들여왔다고 밝혔다. 1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해외 반출됐던 국새(國璽)와 어보(御寶) 2점이 기증을 통해 고국으로 돌아왔다. 고종의 지시로 1882년 제작된 국새 ‘대군주보’(大君主寶)와 효종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740년(영조 16년) 만들어진 ‘효종어보’다. 1990년대 말 경매 사이트에서 이 유물들을 매입해 소장해 오던 미국 뉴저지 거주 재미교포 이대수(84)씨로부터 지난해 12월 기증받았다.
이미지 확대
문화재청은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재미교포 이대수씨로부터 지난해 12월 기증받아 최근 국내에 들여왔다고 밝혔다. 1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문화재청은 외국으로 무단 유출된 조선 후기 국새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재미교포 이대수씨로부터 지난해 12월 기증받아 최근 국내에 들여왔다고 밝혔다. 19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대군주보’(왼쪽)와 ‘효종어보’(오른쪽).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문화재청은 19일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를 공개했다. 국새는 국권의 상징으로, 외교문서와 행정문서 등 공문서에 사용되던 인장이다. 어보는 왕실의 권위를 나타내는 의례용 도장이다. 왕이나 왕비의 덕을 기리거나 사후 업적을 찬양하기 위해 제작됐다.

대군주보는 높이 7.9㎝, 길이 12.7㎝, 무게 4.1㎏이다. 은도금으로, 손잡이는 거북 형상이다. 제작 시기는 1882년으로 추정된다. 고종실록 1882년 5월 23일 기록에 “교린할 때 국서에 찍을 대군주보와 대조선국 대군주보 국새를 조성하라고 명했다”는 내용이 있다. 조선은 이전까지 명과 청에서 받은 ‘조선국왕지인’ 국새를 썼다.

대군주보는 188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까지 사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1883년 외국과 통상조약 업무를 담당하는 전권대신을 임명한 문서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대군주 명의로 반포된 법률·칙령 등에 날인된 예가 확인됐다. 서준 국립고궁박물관 학예연구사는 “고종이 제작한 외교용 국새 6점 가운데 유일하게 발견된 사례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돌아온 대군주보 손잡이 뒤쪽에는 ‘W B. Tom’이라는 영문 알파벳이 음각돼 있다. 국새를 입수한 외국인 소장자가 경매에 내놓기 전 자신의 이름을 새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지 확대
각국과의 통상조약비준 교환에 대한 전권위임장에 찍힌 대군주보.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각국과의 통상조약비준 교환에 대한 전권위임장에 찍힌 대군주보.
서울대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효종어보는 높이 8.4㎝, 길이 12.6㎝, 무게 4.0㎏이다. 손잡이는 금빛 거북 모양이다. 영조가 제17대 임금 효종(1649∼1659)에게 ‘명의정덕’(明義正德)이라는 존호를 올릴 때 제작됐다. 효종어보는 1659년, 1740년, 1900년에 세 번 제작됐다. 그중 1659년 어보는 사라졌고, 1900년 어보는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1960년대 미국으로 유학 간 기증자 이씨는 평소 한국 문화재에 남다른 관심을 갖던 중 1990년대 말 경매사이트에서 두 유물을 매입했다. 국새와 어보는 대한민국 정부 재산으로 소지 자체가 불법이지만 이씨는 매입 당시 이를 인지하지 못했다. 최근 뒤늦게 이런 사실을 알게 돼 고국으로 반환해야겠다는 결심을 굳혔다고 한다. 이 과정에 뉴욕에 거주하는 고려불화 전문가 김형근 미주현대불교발행인과 신영근 전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 사무총장이 중간다리 역할을 했다. 이날 기증 행사에 대리 참석한 아들 성주씨는 “어렸을 때부터 아버지가 한국으로 돌려보낼 유물이라고 항상 말씀하셨다. 귀한 유물이 고국으로 다시 오게 돼 뜻깊고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조선시대와 대한제국 시기에 제작된 국새와 어보는 총 412점(국새 37점, 어보 375점)이다. 일제강점기, 광복 후 혼란, 한국전쟁 등을 거치면서 상당수가 도난당하거나 해외로 무단 반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미 수사 공조로 2014년 대한제국 국새 ‘황제지보’ 등 인장 9점과 2017년 문정왕후어보와 현종어보가 국내 환수되는 등 지금까지 국새 6점, 어보 8점이 미국에서 돌아왔지만 아직 73점은 행방이 묘연하다. 이태진 전 국사편찬위원장은 “국가의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하는 국새와 어보의 환수 노력을 부단히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대군주보와 효종어보는 20일부터 3월 8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조선의 국왕’실에서 특별 공개된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0-02-20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