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해외거주 12년 가정주부 A씨 “은행에서 라임은 절대 안전하다고 했는데...”

해외거주 12년 가정주부 A씨 “은행에서 라임은 절대 안전하다고 했는데...”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0-02-19 17:08
업데이트 2020-02-19 17: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은행이 왜 이런 위험한 상품 권하는지 모르겠다”...원금 손실에 분통 터트려

이미지 확대
우리금융지주 그룹 임원 후보추천위원회는 11일 권광석 새마을금고중앙회 신용공제대표를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는 등 주요 계열사의 임원 후보를 정했다.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의 모습. 연합뉴스
우리금융지주 그룹 임원 후보추천위원회는 11일 권광석 새마을금고중앙회 신용공제대표를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로 단독 추천하는 등 주요 계열사의 임원 후보를 정했다.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의 모습.
연합뉴스
“왜 은행이 이런 위험한 상품들을 권하는 거죠?”

경기 고양시에 사는 가정주부 A(49)씨는 지난해 4월 1일 우리은행 한 지점에서 ‘라임 플루토-FI 사모펀드’에 2억 2000만원을 투자했다가 환매 중단 피해를 입었다. A씨는 같은 달 30일 같은 지점에서 독일 국채 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DLS)에 1억원을 투자했다가 원금 손실 피해를 봤다. A씨는 두 건 모두 가입 당시 투자설명서와 계약서를 받지 못했고, 원금 손실이나 만기 지연 가능성에 대한 사전 고지도 못받았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A씨는 19일 “지난해 9월 10일 ‘DLS 사태’가 터지자 마자 우리은행을 찾아가 설명서와 계약서를 처음 받았다”며 “당시 우리은행 본사에 전화했더니 ‘라임은 DLS랑 전혀 다르게 절대 안전한 4등급짜리 채권이다. DLS는 금리로 움직이지만 라임은 담보가 있는 채권이니 안심하고 있어도 된다”고 얘기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A씨는 10월 초 라임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맞았다.

해외에서 12년을 거주하다 국내에 들어온 A씨는 퇴직금 정산을 위해 개설한 우리은행 통장에 돈을 두자 처음엔 ‘머니마켓펀드’(MMF)에 가입하라는 권유를 들었다. 이후 만기가 됐으니 지점을 방문하라는 연락을 받고 갔다가 해당 상품에 가입하게 됐다.

A씨는 “저처럼 해외에서 12년을 거주한 사람들은 한국 실정을 하나도 모르는데 한 번도 설명서나 계약서를 받은 적이 없었다”며 “높은 수익률을 얻으려고 증권사를 갔다면 모르겠는데, 안전한 은행이 이렇게 한다고 하니 그저 믿었다”고 말했다. 특히 “처음에 저한테 라임을 권할 땐 안전자산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드는 4등급짜리라며 원금과 이자를 다 받는 거니까 절대로 원금 손실날 일이 없다고 설명했다”며 “만기 지연에 대한 얘기도 없었고 선취 수수료에 대한 얘기도 없이 그냥 절대로 안전하다고만 했다”고 강조했다.

A씨는 담당 직원이 라임 관련 투자자 성향분석에서 자신을 임의로 87점을 만들어 ‘공격투자형’으로 분류했고, DLS는 95점으로 했다는 이야기를 전해들었다. 최근 그는 -46%로 최종 손실이 확정된 DLS 관련 자율배상을 통해 55%의 배상비율을 인정받아 총 2200만원 상당의 손실을 봤다. A씨는 “최소한 양심이 있으면 조금이라도 더 배상해 줘야 되는 것 아니냐고 했더니 본사 지침이 그렇게 나온 이상 해줄 방법이 없다고 한다”며 “너무 자괴감에 빠져서 아무 것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울먹였다.

A씨는 “우리은행이 계속된 거짓말로 안심시키고 기만한 죄를 묻고 싶다”며 “우리은행이 지난해 4월 6일 이후 라임 판매 중지를 시켰다고 하는데 저는 4월 1일 가입해서 같은 달 17~24일 설정으로 충분히 정지시킬 수 있었음에도 그냥 놔뒀는데 모두 거짓”이라고 강조했다.

A씨를 비롯한 라임 관련 피해자들은 오는 22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피해자 모임을 가질 예정이다.

강윤혁 기자 ye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