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할리우드서 세월호 알려 만족… 현실은 해피엔딩이길”

“할리우드서 세월호 알려 만족… 현실은 해피엔딩이길”

이슬기 기자
입력 2020-02-18 22:08
업데이트 2020-02-19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카데미 후보 ‘부재의 기억’팀 귀국

이승준 감독 “외신들 최고 다큐 호평”
아이들 사진 들고 레드카펫 밟은 유족
현지 교민, 당당하라며 드레스 빌려줘
“개인은 출품 어려워… 정부 지원 필요”
이미지 확대
한국영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 단편 다큐멘터리 부문 후보에 올랐던 ‘부재의 기억’ 제작자와 관계자들이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세월호 유족 김건우군 어머니 김미나씨, 장준형군 어머니 오현주씨, 이승준 감독, 장훈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한경수 4·16기록단 PD. 연합뉴스
한국영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 단편 다큐멘터리 부문 후보에 올랐던 ‘부재의 기억’ 제작자와 관계자들이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세월호 유족 김건우군 어머니 김미나씨, 장준형군 어머니 오현주씨, 이승준 감독, 장훈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한경수 4·16기록단 PD.
연합뉴스
“‘해외에 가서 많이 알리겠다고 (세월호 유족분들께) 약속을 드렸는데 지킨 거 같아 만족합니다. 해피엔딩은 현실에서 만들면 좋겠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충분히 공감해요. 이 작품 통해서 다시 한 번 세월호 얘기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세월호를 다룬 다큐멘터리 ‘부재의 기억’(In the Absence)으로 한국 최초로 아카데미 단편 다큐멘터리 후보에 올랐던 이승준 감독의 소감이다. 1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귀국 기자간담회에서 이 감독은 할리우드에서 마주한 반응들을 고스란히 전했다. 그가 만든 29분짜리 영상 ‘부재의 기억’은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에 집중, 국가의 부재에 질문을 던진다. 그는 “그들도 사고 위기, 재난이 있었을 때 국가가 제 기능을 못해서 희생된 사건들 얘기를 하며 많이 공감해줬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감독은 “뉴욕타임스, 인디와이어 등 몇몇 외신에서 ‘후보작 중 최고’라는 평판도 들었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다”며 “재밌고 희한한 경험이었다”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 감독과 함께 아카데미 레드카펫을 밟은 세월호 유족들도 참석해 소회를 밝혔다. 단원고 장준형군 어머니 오현주씨는 “뉴욕 맨해튼에서 집회를 이어가는 교민분들도 ‘미국 사람들이 아는 척을 많이 하더라’고 했다. ‘부재의 기억’ 영향인 거 같다는 얘길 들었다”고 했다. 김건우군 어머니 김미나씨는 이 감독과 감병석 프로듀서의 배우자가 시상식 참석을 양보한 이야기를 전했다. 이어 “저희가 가져간 의상은 평범한 정장인데 교민분들이 ‘아이들 데리고 들어갈 건데 좀 더 당당해야 한다’고 하면서 드레스를 빌려줬다”며 “250명 아이들 데리고 사진을 찍은 게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했다. 오씨와 김씨는 아카데미 레드카펫에서 아이들 얼굴이 그려진 현수막을 들고 사진을 찍었다.

한국 다큐멘터리의 해외 진출 가능성을 묻는 말에 이 감독은 “아카데미가 굉장히 미국 중심 시상식이지만 소재의 문제는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개인 자격으로 아카데미에 출품하는 일의 어려움을 토로하며 영화진흥위원회 등과 같은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희는 미국 측 파트너(비영리 다큐제작단체 ‘필드오브비전’)의 도움을 받았지만, 프로모션 하는 비용이 엄청나요. 작품이 좋으면 지원하는 게 가능하지만, 아카데미는 (다른 영화제들과는) 공정 자체가 다른데, 이런 게 공유가 잘 안 돼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고민을 잘하면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2020-02-19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