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년 5개월만의 “경제 회복” 진단에도 코로나19에 발목

1년 5개월만의 “경제 회복” 진단에도 코로나19에 발목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0-02-14 14:01
업데이트 2020-02-14 14: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재부 “코로나 지속시 회복 제약 가능성”

이미지 확대
홍민석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이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2월 최근경제동향 배경 설명을 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홍민석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이 14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0년 2월 최근경제동향 배경 설명을 하고 있다.
세종 연합뉴스
정부가 1년 5개월만에 한국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고 진단했지만,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여파로 낙관론에 제동이 걸렸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에서 “올해 들어 D램 반도체 고정가격이 소폭 상승 전환되고 글로벌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는 모습”이라며 “지난해 4분기 우리 경제는 생산·소비·설비투자 증가세가 이어지고 12월에는 경기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동반 상승하는 등 경기개선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기재부는 “최근 발생한 코로나19의 확산 정도 및 지속기간에 따라 중국 등 세계 경제의 성장 및 우리 경제의 회복 흐름이 제약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경기 상황을 공식적으로 판단하는 그린북에서 경제 전반이 개선되고 있다고 밝힌 것은 2018년 9월 이후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4월부터는 7개월 연속 ‘부진’이라는 표현을 통해 경기가 침체 국면에 있음을 공식화하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광공업 생산은 기계장비(12.6%), 전기장비(8.9%), 자동차(3.4%) 등의 호조로 전월보다 3.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서비스업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전(全)산업 생산이 전월보다 1.4% 올라갔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보다 2.7% 감소했다. 출하는 전월 대비 4.5% 증가해 제조업 재고율은 전월보다 7.9%포인트 하락한 107.8%를 기록했다. 생산능력 대비 생산 실적을 의미하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전월보다 2.4%포인트 오른 74.3%였다.

지난해 12월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0.7%), 숙박·음식업(-0.4%), 정보통신업(-0.4%) 등의 감소로 전월보다 0.1% 내려갔다. 1월 서비스업은 할인점·온라인 매출액, 중국인 관광객 수 등은 긍정적 요인으로, 백화점 매출액 감소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달 백화점 매출액(-0.3%)은 줄었으나 할인점과 온라인 매출액이 각각 7.3%, 3.3% 증가했다.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 수도 1년 전보다 23.8% 늘었다.

현재 경기 상태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8월(0.2) 이후 4개월 만에 반등했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4포인트 오르면서 4개월 연속 상승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동시에 상승한 것은 2017년 1월 이후 35개월 만이다.

다만 코로나19 사태가 지난달 말부터 본격화된 것을 고려하면 이번 지표에 코로나19의 영향이 전부 반영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2월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들이 공표되는 다음 달에나 코로나19가 우리 경제에 얼마나 악영향을 미쳤는지 실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13일 “코로나19 사태가 5년 전(메르스 사태)보다 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된다”고 말했다. 홍민석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이날 “이는 우리나라와 감염병 사태 상대국 간 인적·물적·경제적 관련성의 차이를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진원지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번 코로나19 사태의 근원인 중국이 각각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그 정도가 아주 다르다는 얘기다.

홍 과장은 “메르스 사태 당시 사우디아라비아 관광객 비중은 0.1%에 불과한 반면 현재 중국인 관광객 비중은 34.4%”라면서 “우리나라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사우디아라비아는 1%대에 그쳤지만, 중국은 25%가 넘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발생 당시에는 15개 지표를 체크했고 현재는 30개”라면서 “백화점·마트 카드 승인액, 면세점·슈퍼마켓·편의점 매출, 중국인 관광객을 비롯한 전체 관광객, 철도 이용률, 고속도로 통행량, 놀이공원·극장 등 다중시설 이용객 등을 주로 참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