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민주당, 역풍에 ‘칼럼 고발’ 취하했지만…안팎서 거센 후폭풍

민주당, 역풍에 ‘칼럼 고발’ 취하했지만…안팎서 거센 후폭풍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0-02-14 11:41
업데이트 2020-02-14 2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철수 싱크탱크 출신이라 고발” 해명 논란 더 키워
“중도층 이탈 우려, 관용의 자세 필요” 내부서도 자성론
이미지 확대
확대간부회의 향하는 민주당 이해찬 대표
확대간부회의 향하는 민주당 이해찬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민주당은 당에 비판적 칼럼을 기고한 임미리 고려대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를 이해찬 대표 명의로 검찰에 고발, 부적절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2020.2.14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14일 ‘민주당만 빼고’ 칼럼을 쓴 임미리 고려대 연구교수에 대한 고발을 취하했으나 후폭풍이 거세다. 특히 민주당이 고발을 취하하면서 ‘임 교수가 안철수 싱크탱크 출신이라 고발했다’는 취지의 설명을 내놓으면서 논란이 더 커지는 모양새다.

민주당은 이날 “임 교수는 안철수의 싱크탱크 ‘내일’의 실행위원 출신으로 경향신문에 게재한 칼럼이 단순한 의견 개진을 넘어 정치적 목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 고발을 진행하게 됐던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의 고발조치가 과도했음을 인정하고, 이에 유감을 표한다”고 했다.

하지만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이해찬 대표 주재 확대간부회의서의 공개 발언이나 당 대변인의 공식 논평은 내놓지 않았다. 또 고발 방침을 확정하기까지 어떤 의사결정 절차를 거쳤는지도 밝히지 않았다.

민주당이 안철수 국민당(가칭) 창당준비위원장을 거론하자 안 위원장 측도 발끈했다. 김철근 공보단장은 “안철수 싱크탱크 출신이라 임 교수를 고발했다는 민주당, 안철수 편을 들면 불이익이 있을 거라는 협박이다”고 말했다. 김 단장은 “한마디로 안철수 싱크탱크 출신이라서 고발했다는 것이고, 바꿔 말하면 안철수와 연관이 없었다면 고발을 하지 않았을 거라는 의미”라며 “누구 편인지부터 보고 고발을 결정한다는 것이 민주당의 기준이라는 사실을 실토한 것”이라고 했다.

자유한국당은 고발 취하를 요구한 이낙연 전 국무총리를 겨냥했다. 김성원 대변인은 “온 국민이 분노한 조국 사태 때는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않던 이 전 총리와 민주당 인사들도 선거를 앞두고는 맘이 급해서인지 몰라도 이건 아니다는 입장을 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제라도 국민이 얼마나 무서운지 깨달아서 다행이긴 하지만, 표를 얻고 싶어 서둘러 문재인 정권과 선을 긋는 것도 볼썽사나울 뿐”이라고 했다.

새로운보수당은 이 대표의 사퇴를 촉구했다. 권성주 대변인은 “여론의 뭇매를 맞아 선거를 의식해 고발 취하한다고 끝날 일이 아니다”며 “아무도 책임지는 자가 없다. 그게 바로 위선과 이중성의 민주당 본색”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진정 잘못을 인정하는 사죄라면 그에 대한 책임이 따라야 한다”며 “이 대표는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표현의 자유를 짓밟은 죄, 정권 비판 언론을 탄압한 죄에 대해 대국민 사죄하고 대표직을 사퇴하라”고 했다.

민주당 내에서도 비판이 쏟아졌다. 대구에서 고군분투 중인 김부겸 의원은 “지금 이 건은 누가 뭐라고 해도 중도층의 이반을 불러올 가능성이 크다”며 고발 철회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대구·경북에서 선거 치르고 있는 저를 포함한 우리 당 예비후보들, 한 번 도와달라”며 “보수층의 공격이야 얼마든지 감내하고 제 나름대로 설득하겠지만, 젊은 중도층이 고개를 저으면 제가 어찌할 방법이 없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우리 민주당이 관용하는 자세를 좀 더 갖추었으면 한다”며 “오직 뚜벅뚜벅 정도를 걸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정성호 의원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오만은 위대한 제국과 영웅도 파괴했다”며 “항상 겸손한 자세로 국민의 목소리를 경청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