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2020년, 대한민국 기후행동 시동/조명래 환경부 장관

[기고] 2020년, 대한민국 기후행동 시동/조명래 환경부 장관

입력 2020-02-10 17:22
업데이트 2020-02-11 02: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명래 환경부 장관
조명래 환경부 장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기후재해로 인한 피해 소식이 새해에도 변함없이 대형 뉴스가 되고 있다. 기후재해는 말 그대로 일상다반사가 됐다. 기후재해는 통제 불가능한 위기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호주 사례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시작된 산불이 반년 넘게 호주 전역으로 퍼지면서 우리나라 국토 면적과 맞먹는 대지를 태우고 10억 마리가 넘는 야생동물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기후변화로 인도양 지역 간 수온 격차가 커지며 전례없는 고온과 가뭄이 발생했다. 기후변화가 곧 대륙적 산불을 불러온 원인인 셈이다. 호주 산불로 4억t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는데 이는 2017년 기준 우리나라 연간 배출량(7억 900만t)의 절반을 넘는다. 기후변화 결과인 산불이, 산불 발생의 원인이었던 기후변화를 거꾸로 가속화하는 결과가 되고 있다.

돌이켜보면 인류 역사는 미래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시간이었다. 원시 수렵사회에서 인류는 내일의 생존에 필요한 사냥감을 오늘 만나지 못하면 어쩌나 늘 두려워했다. 내일 자체가 위험이었다. 농경사회가 되고 식량을 저장할 수 있게 되면서 내일의 위험은 그만큼 줄었다. 다만 뿌린 대로만 거둘 수 있었던 건 아니다. 홍수·가뭄·병충해 등 자연의 변덕은 한 해의 수고를 앗아가곤 한다.

인류는 이제 기후변화라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인류가 지금까지 겪어 온 위험과 다른 차원이다. 기후변화는 외부 환경, 즉 자연이 우리에게 가하는 변화가 아니라 우리가 만들어 낸 결과물이다. 기후변화는 지구생태계의 균형 상태를 깨트린다. 사람뿐 아니라 지구를 삶의 터전으로 하는 수많은 동식물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 불타는 호주는 기후변화가 악순환 과정을 거쳐 예측할 수 없는 절멸의 시대로 이끌고 있음을 보여 준다.

더 늦기 전에 기후변화가 초래할 수 있는 대재앙으로부터 탈출해야 한다. 산업혁명 이후 지구 표층에 쌓인 온실가스의 양이 일정 수준을 넘게 되면 더이상 손쓸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다. 호주 산불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난다면 온실가스 감축 시도 자체가 무의미해진다. 기후변화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악순환의 고리를 절단해야 한다.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2020년 국제사회의 온실가스 감축 약속인 파리협정체제가 본격 가동된다. 우리는 온실가스 배출은 줄이고 경제는 성장하는 ‘탈동조화’(decoupling) 원년으로 정했다. 대한국민이 기후행동의 시동을 건다.
2020-02-1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