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 탄핵안 부결 임박, 트럼프 ‘개선장군식 국정연설’ 무산될 듯

美 탄핵안 부결 임박, 트럼프 ‘개선장군식 국정연설’ 무산될 듯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2-02 08:29
업데이트 2020-02-02 08: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디모인에 있는 드레이크 대학에서 대선 유세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 자료사진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디모인에 있는 드레이크 대학에서 대선 유세를 벌이고 있다.
로이터 자료사진 연합뉴스
미국 상원이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을 증인으로 부르는 방안을 부결시킴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은 부결될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 하지만 소추안 표결 시점이 오는 5일(이하 현지시간)로 잡히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이 그토록 바라던 ‘탄핵 무죄 선고 뒤 국정연설’이란 ‘최상의 시나리오’는 어그러졌다.

상원이 지난달 31일 채택한 일정 결의안에 따르면 1∼2일 휴회한 뒤 오는 3일 오전 11시 탄핵심리를 속개, 탄핵소추위원단과 대통령 변호인단의 최종 진술을 두 시간씩 청취한다. 탄핵소추안 표결은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연설 다음날인 5일 오후 4시에 실시된다. 최종 진술과 소추안 표결 사이에는 상원의원들의 본회의 릴레이 발언이 잡혀 있다.

공화당은 당초 지난달 31일 증인 채택안 표결 직후 탄핵소추안 표결까지 끝낼 계획이었지만 민주당과의 막판 기싸움에서 밀렸다. 의회전문매체 더힐은 미치 매코널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가 ‘표결 전 숙고’ 없이 속전속결로 끝내려 했지만 중도파의 반대에 부딪힌 것도 한 이유라고 보도했다.

민주당으로선 대선 경선 레이스의 첫 관문인 아이오와 코커스(당원대회)라는 ‘빅 이벤트’가 열리는 3일 양측의 최종 진술이 잡혀 있어 의회에 발이 묶이게 됐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 면죄부’를 받은 상태에서 ‘개선장군’처럼 국정연설 연단에 올라오는 일은 막아냈다. 더욱이 주말 휴회 합의로 후보들이 코커스 전 마지막 주말에 아이오와 표밭을 누릴 수 있게 됐다.

더힐은 “상원의원 대선주자들이 3일 코커스 때문에 아이오와로 돌아가길 열망했는데 민주당은 일단 단일대오를 보였다”고 촌평했고, 워싱턴 포스트(WP)는 탄핵안 표결이 국정연설 다음날로 밀린 것은 “민주당의 작은 승리”라고 평가했다.

백악관은 지난달 31일 오후 일정을 놓고 상원에서 물밑논의가 진행되는 동안 ‘국정연설 전 탄핵안 표결’ 입장을 견지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자 “최대한 빨리 (표결을) 마치도록 하라”며 결국 현실을 받아들였다고 CNN은 전했다. 매코널 원내대표는 일정 결의안 제출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이를 승인했다고 현지 언론들이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국정연설 일자를 표결이 예정된 5일 이후로 다시 잡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돌았지만 존 튠 공화당 상원 원내총무는 기자들에게 “대통령은 4일 국정연설을 하는 데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증인채택안 부결 과정에 공화당 반란표가 두 표에 그쳐 탄핵안은 이변 없이 상원에서 부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내상’도 적잖은 데다 대선 국면에서 후유증은 계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물론 트럼프 지지층이 더 결집하는 효과를 낳아 민주당에 역풍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NBC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은 상원 탄핵심판에서 권력을 얻어냈지만 ’정치적 소송‘에서는 패했다“며 공화당 내부에서조차 트럼프 대통령이 ‘유죄’란 목소리가 나오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부정한 시스템의 피해자였다는 프레임은 작동하기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탄핵 부결로 워싱턴에서 큰 힘을 얻게 됐지만 대선 국면에서 오히려 취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WP도 의회에서의 탄핵 절차가 종결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의구심은 선거운동 공간으로 그 무대를 옮길 뿐이라고 보도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