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주원기자의 軍고구마] 軍 경례 구호는 왜 부대마다 다른 걸까?

[이주원기자의 軍고구마] 軍 경례 구호는 왜 부대마다 다른 걸까?

이주원 기자
입력 2020-02-01 13:00
업데이트 2020-02-01 13: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부분의 남성이 거쳐 가는 군대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많습니다. 군대를 다녀온 사람이라면 누구나 품었을 법한 군의 고구마같은 모습을 약칭 ‘軍고구마’를 통해 사이다같이 밝혀 드리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경례하는 육군 장병들
경례하는 육군 장병들 육군 장병들이 기초군사훈련 수료식에서 거수경례를 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필승! Yes I can!” (박명수)

“…엎드려!” (흑곰 교관)

박명수가 경례를 힘차게 외쳤는데도 얼차려를 받은 이유는 무엇일까? 정답은 “경례 구호를 잘못 외쳤기 때문”이다.

2017년 MBC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에서는 멤버들의 서툰 훈련소 생활을 다룬 ‘진짜사나이’ 편이 방송됐다. 박명수가 ‘I can do!’라는 경례 구호를 ‘Yes I can!’으로 잘못 외치는 바람에 모두가 얼차려를 받은 장면은 큰 웃음을 선사했다. 덕분에 육군 30사단의 독특한 경례 구호도 유명세를 탔다.

경례는 군인의 엄중하고 단정한 인사법이다. 상대방에 대한 존중 및 부대와 상관에 대한 복종과 충성의 의미가 담겼다. 군에서는 항상 절도 있는 자세로 경례를 해야 한다고 배운다.

하지만 30사단의 경례구호를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희화화가 되기도 했다. 아무리 좋은 뜻을 가지고 있더라도 국군 부대 경례 구호에 왜 영어가 들어가야 하는지 알 수 없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경례 구호가 너무 길어 보다 짧고 간결해야 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방송 이후 30사단은 경례 구호에서 영어를 빼버렸다. 지금 30사단의 경례 구호는 원래대로 ‘필승’으로 되돌아갔다.

경례 구호는 부대 지휘관이 교체되면서 아예 바뀌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6사단의 구호는 ‘필승’이었다가 ‘청성’으로 변경됐다. ‘청성부대’라는 부대의 별칭을 따온 것이다. 이밖에도 맹호, 단결, 북진, 백마 등 현재 약 수 십여가지의 경례 구호가 사용된다고 한다.

이처럼 경례 구호가 부대마다 다르고 자주 바뀌는 이유는 무엇일까? 육군의 경례 관련 지침(육규 120 병영생활 규정 제19조 경례)을 살펴보면 기본 경례구호는 ‘충성’으로 하되 장성급 지휘관의 재량에 따라 변경해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충성’을 사용하면서도 지휘관의 지휘의도와 각 부대의 역사와 전통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재량권을 준 것이다.

이런 방법은 부대원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인다. ‘백골’, ‘이기자’ 등 경례만 들어도 어떤 부대인지 알 수 있는 소위 ‘메이커’ 부대의 구호가 대표적인 것이다.

반면 ‘I can do’ 처럼 뒷말을 낳게 하는 구호도 있다. 지금은 해체된 26사단은 한때 ‘공격! 사랑합니다!’라는 구호를 썼다. 당시 장병들 사이에서는 ‘대체 공격과 사랑이 어떤 조합인지 이해할 수 없다’는 말이 나왔다. 다른 일부 부대들도 ‘사랑합니다’라는 말을 덧붙인다. 군 관계자는 “이성과 업무 차 통화할 때나 지휘관에게 사랑한다는 구호를 쓰면 기분이 이상한 것이 사실”이라고 전했다.

경례 구호가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육군사관학교는 ‘통일’이란 경례구호를 사용해 오다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3년 ‘충성’으로 변경했다. 당시 진보적인 대북정책 기조와 맞지 않다는 이유로 해석됐다. 그 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 다시 통일로 환원하고자 했지만 무산됐다. 육사 외에 ‘통일’ 구호를 사용하는 부대도 많았지만 현재는 그 수가 줄었다. 정치적 함의가 다분한 ‘멸공’이라는 경례구호도 일부 사단에서 사용됐지만 지금은 사라졌다.

2014년 국방부는 전군의 경례 구호를 통일하려고 시도했다. 모두 같은 경례구호를 사용해 육·해·공군의 합동성을 강화하자는 차원이었다. 또 부대마다 경례가 중구난방이라는 문제의식이 있었다. 일부 부대들을 대상으로 시범적용에 들어가 ‘충성’ 경례구호를 일괄적으로 사용했다.

하지만 각 부대마다 전통을 지켜달라는 지휘관들의 강한 반발이 나왔다. 예비역들까지 반발에 나서자 국방부는 계획을 철회할 만큼 경례 구호는 많은 뒷말을 불러 일으켰다.

미군의 경우는 어떨까. 미군의 경우 우리나라와 비슷하지만 다르다. 일반적으로 경례구호를 따로 붙이지 않지만 일부 전투부대는 전투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구호를 외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미2사단은 “Second to none”(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이라는 구호를 사용한다. 미군도 구호는 지휘관의 재량에 따라 사용하도록 했다.

다만 우리 군과는 달리 상관이 먼저 하급자에게 경례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군 관계자는 “인사 차원에서 상급자가 하급자에게 경례를 할 수 있다”고 했다. 복종과 충성의 의미를 크게 담고있는 우리 군과는 약간 결이 다르다.

국방부 부대관리훈령 제23조는 “경례는 엄정한 군기를 상징하는 군대예절의 기본으로 항상 엄숙, 단정하게 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부대 전통을 고려해 자율적으로 구호를 외치더라도 ‘군인의 멋’이 담긴 만큼 경례가 희화화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는 게 군 안팎의 시각이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