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아바스 수반 “트럼프 중동평화 구상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아바스 수반 “트럼프 중동평화 구상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1-29 05:15
업데이트 2020-01-29 06: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중동평화 구상을 발표하던 중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발언에 손뼉을 마주치고 있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중동평화 구상을 발표하던 중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발언에 손뼉을 마주치고 있다.
워싱턴 AP 연합뉴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자치정부 수반이 “예루살렘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다”라며 “팔레스타인 민족은 미국의 구상을 역사의 쓰레기통으로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가자지구의 무장정파 하마스도 28일(이하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중동평화 구상을 거부했다고 로이터, AP 통신 등이 보도했다. 2006년 팔레스타인 총선에서 승리한 뒤 가자지구에서 파타 정타를 몰아내고 독자적으로 통치하고 있는 하마스 간부인 사미 아부 주흐리는 이날 “트럼프의 성명은 공격적이고 많은 분노를 유발한다”고 밝혔다고 로이터가 전했다. 아부 주흐리는 “예루살렘에 대한 트럼프의 성명은 터무니 없고 예루살렘은 항상 팔레스타인인들의 땅일 것”이라며 “팔레스타인은 이 거래에 맞서겠다”고 강조했다.

 하마스의 다른 간부 칼릴 알하야도 “우리는 팔레스타인 민족이 이 음모들을 용납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모든 선택지가 열려 있다”고 말했다고 AP가 전했다.

 이 구상은 팔레스타인 자치지역 내의 ‘정착촌 인정’을 추구해온 이스라엘과 ‘완전한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해온 팔레스타인의 주장을 일정 부분 수용한 모양새를 취했다. 하지만 외신들은 이 방안이 실질적으로 이스라엘의 요구를 대부분 들어준 것이라는 점에서 이스라엘 쪽에 치우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함께 유대인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 보좌관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중동평화 구상을 발표했다. 팔레스타인 자치령인 요르단강 서안에 들어선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고 이스라엘이 향후 4년 동안 새로운 정착촌 건설을 하지 않도록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 팔레스타인이 이스라엘 정착촌을 받아들이는 대신 동예루살렘 일부 지역에서 수도를 포함한 국가를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요르단강 서안은 이스라엘이 1967년 제3차 중동전쟁을 계기로 점령한 지역이며 유엔 등 국제사회는 이곳에 건설된 유대인 정착촌을 불법으로 여긴다. 팔레스타인인들은 요르단강 서안을 미래 독립국가의 중심지로, 동예루살렘을 국가의 수도로 보고 있다고 AP는 설명했다. 이스라엘의 정착촌 합병 추진은 팔레스타인 분쟁의 해법으로 거론돼온 이른바 ‘2국가 해법’(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각각 독립국으로 공존하는 방안)의 큰 장애물로 꼽혀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구상에 대해 “현실적인 2국가 해법을 제안하고 있다”며 이전의 미국 행정부가 제시한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팔레스타인 독립국가를 설립하고 대사관을 개설하는 데 500억 달러의 국제 금융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고 뉴욕타임스(NYT)는 전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예루살렘은 이스라엘의 완전한(undivided), 매우 중요한 수도로 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 행정부의 고위 관리는 팔레스타인이 관할하는 영토가 지금의 곱절로 늘어나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 지구로 이뤄지고 이들 지역은 도로와 교량, 터널로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백악관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제안한 양측 국경이 그려진 지도도 공개했다. 지도에는 요르단강 서안의 15개 이스라엘 정착촌 등이 담겼다.

 NYT는 “이스라엘을 강력히 지지하는 중동평화 구상”이라며 이스라엘에는 수십 년의 갈등 속에 추구한 대부분을 주는 반면 팔레스타인은 제한된 주권을 지닌 국가로 부르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이 28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중동평화 구상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라말라 EPA 연합뉴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이 28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 라말라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중동평화 구상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라말라 EPA 연합뉴스
아랍권 방송 알자지라에 따르면 팔레스타인자치정부(PA)의 무함마드 쉬타예흐 총리는 전날 “우리는 거부하고 국제사회가 그것에 동참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며 “국제법의 기본, 양도할 수 없는 팔레스타인의 권리와 모순된다”고 비판했다. 팔레스타인은 2017년 12월 트럼프 대통령이 분쟁 지역인 예루살렘을 이스라엘의 수도로 인정한다고 발표한 뒤 미국 정부와 대화를 거부하고 있다.

 그동안 팔레스타인 분쟁 등 대외정책에서 유연함을 과시할 수 있는 정치인이라는 기대를 모아온 중도파 베니 간츠 대표도 이 구상을 “역사적인 이정표”라고 반기며 오는 3월 2일 이스라엘 총선 이후 중동평화구상 이행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1일 간츠 대표는 총선 이후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계곡 합병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총선 결과 어느 쪽이 승리하더라도 팔레스타인 정책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낳았다.

 이스라엘과 미국이 팔레스타인에 대한 강경책을 이어가고 있지만, 국제사회는 무기력한 모습이다. 2018년 5월 미국이 이스라엘 주재 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옮겼을 때도 유엔과 아랍권은 비판 성명 외에는 실효성 있는 대응을 하지 못했다. 특히 아랍권이 트럼프 대통령의 이 구상에 응집된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걸프지역 국가들이 중동평화 구상을 모호하게 지지할지 모른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 걸프지역 수니파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부쩍 공을 들이고 있어서다. 이들 걸프지역 국가들은 팔레스타인 분쟁 등으로 이스라엘과 껄끄러웠지만 이슬람 시아파의 맹주 이란에 맞선다는 공감대가 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