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판박이 랜드마크 말고 ‘문화 게하’ 어떨까요

판박이 랜드마크 말고 ‘문화 게하’ 어떨까요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0-01-22 17:29
업데이트 2020-01-23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영현 지역문화진흥원장

이미지 확대
김영현 지역문화진흥원장은 “문화를 통해 지역이 중심이 되고, 지역 주민이 과정을 즐기면서 서로 관계를 맺도록 하는 사업들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김영현 지역문화진흥원장은 “문화를 통해 지역이 중심이 되고, 지역 주민이 과정을 즐기면서 서로 관계를 맺도록 하는 사업들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대중문화를 제외하고 우리 삶에서 문화를 누리고 사는 이들이 전체의 10%밖에 안 됩니다. 일상생활에 문화가 녹아들고 모두가 문화를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서울·수도권은 인구 과밀에 시달리고, 지방은 인구 감소와 재정 부족에 허덕인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가 해법을 줄 수 있을까. 신년을 맞아 만난 재단법인 지역문화진흥원의 김영현 원장은 “가능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지방자치단체가 여러 정책을 펼치곤 하지만, 큰 건물 짓기와 같은 하드웨어에 주로 치중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그렇게 빈집을 밀어버리고 랜드마크가 될 만한 큰 건물을 지으면 지역이 살아날까요. 차라리 지역 특유의 문화와 결합한 리모델링을 거쳐 게스트 하우스를 만드는 게 나을 겁니다.”

김 원장은 “지역을 살리는 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주민이고, 삶과 경제를 결합해야 지속가능성이 커진다”면서 ‘불도저’식 개발이 아닌 인문적·관계적 가치를 지닌 개발을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지역문화진흥원이 운영하는 ‘문화가 있는 날’ 사업 가운데 하나인 직장 문화배달의 ‘우리직장 슈퍼스타’ 특별공연 모습. 지역문화진흥원 제공
지역문화진흥원이 운영하는 ‘문화가 있는 날’ 사업 가운데 하나인 직장 문화배달의 ‘우리직장 슈퍼스타’ 특별공연 모습.
지역문화진흥원 제공
●年 125억원 ‘문화가 있는 날’에 집중 투자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비영리재단인 지역문화진흥원은 2016년 5월 생활문화진흥원으로 출발해 2017년 12월 명칭을 변경했다. 기존 생활문화사업과 함께 기반시설 및 인력양성 사업에 2018년 1월부터 ‘문화가 있는 날’ 사업도 함께 운영한다. 한 해 전체 예산이 200억원 수준으로, 125억원이 문화가 있는 날 관련 사업이다. 문화가 있는 날은 문체부가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하도록 정한 매달 마지막 수요일을 가리킨다. 각종 문화예술 행사를 무료, 혹은 할인받아 즐길 수 있다.

문화가 있는 날엔 한국의 젊은 예술가를 무대에 올리는 ‘청춘마이크’를 비롯해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예술인들이 일터를 찾아가 공연하는 ‘직장문화배달’도 반응이 좋다. 직원 호응도가 크니 회사가 자체적으로 초청 공연이나 강연을 하는 식으로도 확장되기도 한다. 나머지 예산은 생활문화센터 운영활성화, 지역문화전문인력 배치, 여가친화기업 선정, 유휴공간 문화재생 활성화를 지원하고 문화이모작,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쓴다. 이 사업 모두 지역에 문화 뿌리를 내리고 활성화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문화를 통해 지역이 중심이 되고, 지역 주민이 과정을 즐기면서 서로 관계를 맺도록 한다”는 게 김 원장의 설명이다.

●문화로 사회문제 해결, 숫자로 보여 줄 것

예컨대 문화활동가와 상인공동체가 함께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사업의 하나로 2015년부터 시작한 경기 안산 대부도의 ‘섬자리’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사례다. 마을 청년들의 다양한 고민을 해결하고 문화를 공유하는 ‘청년쌀롱’, 이주여성과 마을 여성들이 공예를 매개로 커뮤니티를 꾸민 ‘포롱섬 이야기’, 원주민을 중심으로 구성한 커뮤니티 ‘그리다섬’이 지역에 생기를 불어넣었다.

“대부도는 일자리도 부족하고, 청년 수도 적은 지역입니다. 섬자리 프로그램은 청년들이 일자리뿐 아니라 마을에서 자기 자리를 찾는 활동을 하도록 도왔습니다. 단순 지원을 벗어나 지역 주민이 서로 사회적 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죠. 관계망이 달라지면 곧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지거든요.”

김 원장은 문화예술 사업이 스쳐 가는 ‘미담’으로만 기록되길 원하지 않는다. 문화가 구체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하도록, 문화의 힘을 데이터로 산출하는 걸 올해 주요 목표로 삼았다.

“문화는 향유하는 데에서 한 발 나아가 우리 사회를 더 좋아지게 할 수 있습니다. 지역문화진흥원 사업들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얼마나 이바지하는지 숫자로 보여 주면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도 달라지겠죠. 이런 활동을 적극적으로 이어 가면 문화 소외로부터 국민을 보호하는 ‘문화안전망’도 구축할 수 있을 겁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0-01-23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