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퀴비 런칭에 스타PD들까지…‘고품질 숏폼’ 전쟁 시작됐다

퀴비 런칭에 스타PD들까지…‘고품질 숏폼’ 전쟁 시작됐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0-01-22 16:34
업데이트 2020-01-22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中 글로벌 기업 잇따라 숏폼 진출
완결성·작품성 갖춘 콘텐츠 선보여
“형식 뿐 아니라 내용 실험도 필요”
10분 안팎의 ‘숏폼’ 콘텐츠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국내에서도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영석 PD가 익숙한 콘텐츠를 10분짜리 영상에 담아 선보인 ‘금요일 금요일 밤에’의 한 장면. tvN 제공
10분 안팎의 ‘숏폼’ 콘텐츠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국내에서도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나영석 PD가 익숙한 콘텐츠를 10분짜리 영상에 담아 선보인 ‘금요일 금요일 밤에’의 한 장면. tvN 제공
“시청자들의 시청 패턴은 변하고 있는데, 70분짜리 방송을 던져 놓고 알아서 끊어 보라고 하는 건 무책임하지 않나 생각했다. 그래서 아예 짧은 콘텐츠 여러 개를 묶었다.”

지난 10일 방송을 시작한 옴니버스 예능 tvN ‘금요일 금요일 밤에(‘금금밤’)를 통해 새로운 형식을 시도한 나영석 PD는 기자간담회에서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를 이렇게 설명했다. 시청자들의 영상 시청 패턴이 10분 안팎의 ‘숏폼’(Short-Form) 위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변화를 시도했다는 설명이다.

글로벌 기업들도 잇따라 숏폼에 뛰어드는 추세다. 디즈니, NBC 유니버설, 소니픽처스 등의 투자를 받은 플랫폼 ‘퀴비’는 올 4월 출범한다. 스티븐 스필버그, 기예르모 델 토로 등 할리우드 유명 감독들을 영입했고, 한 에피소드당 10분 이내로 구성된 고품질 동영상을 1년 안에 7000편 이상 만들 계획을 세웠다.

중국도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아이치이’ 등을 중심으로 세로 화면의 오리지널 웹드라마를 선보였다. 회당 3~5분 길이에 일상적인 코미디물로 사흘만에 온라인 리뷰 1만건을 달성하기도 했다. 시장조사업체들에 따르면 중국의 경우 숏폼 일일 시청시간이 롱폼을 앞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내에서도 2015년 런칭한 유튜브 채널 72초TV 등이 빠른 화면 전환과 스타일리시한 구성의 숏폼 콘텐츠를 활발히 제작하고 있다. 72초TV는 5분 안팎의 드라마 등을 선보이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누적 조회수가 6100만뷰를 넘는다. 2018년에 네이버가 72초TV에 20억원을 투자했다. 작품성도 인정받아 초단편드라마 ‘dxyz’는 지난해 국제 에미상 본심에 진출하기도 했다. 2018년 ‘신감독의 슬기로운 사생활’에 이어 2년 연속이다.
미국 영화감독 자크 웨치터가 지난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퀴비 기자회견에서 짧은 영상물들을 촬영할 때 사용한 장치를 보여 주고 있다. EPA 연합뉴스
미국 영화감독 자크 웨치터가 지난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퀴비 기자회견에서 짧은 영상물들을 촬영할 때 사용한 장치를 보여 주고 있다. EPA 연합뉴스
이런 흐름 속에 최근에는 방송 PD들도 숏폼에 도전하고 있다. 나영석 PD의 ‘금금밤’은 노동, 요리, 과학, 스포츠, 미술 등을 주제로 각각의 10분짜리 영상 6개를 연달아 붙였다. 각 방송이 연결되지 않고, 60분 방송을 10분으로 줄인 것 처럼 완결성을 갖췄다. 각각 길이는 짧지만 품질과 완성도를 추구하다 보니 제작비는 오히려 20~30%가 더 든다는 게 제작진의 설명이다. 이외에 MBC 출신의 예능 PD들을 영입한 카카오M도 20분 이내의 숏폼 콘텐츠를 준비 중이다.

숏폼 전쟁이 가속화하면서 결국 관건은 ‘맞춤형 콘텐츠’가 될 전망이다. 단순히 긴 길이의 방송을 줄이거나 기존 방송 콘셉트를 그대로 가져오기 보다, 나름의 서사적 완결성과 콘텐츠의 질을 갖춰야 경쟁력이 있다는 것이다.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금금밤’도 형식은 다르지만 내용은 기존에 나 PD가 해 오던 것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며 “향후 콘텐츠 측면에서도 더 다양한 실험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금금밤’은 “산만하다”, “새롭다”는 의견이 엇갈리는 가운데 나 PD의 전작들에 비해 낮은 2%대 시청률로 시작했다.

이승윤 건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짧은 길이를 선호하는 Z세대의 요구와 함께 이동 중 모바일을 통한 영상 소비가 늘어나며 장기적으로 숏폼은 더 확산될 것”이라며 “형식 변화를 계속 시도하는 것 자체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