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르포]모래언덕 이용해 강물 정화...‘無염소 수돗물’ 네덜란드를 가다

[르포]모래언덕 이용해 강물 정화...‘無염소 수돗물’ 네덜란드를 가다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0-01-14 22:23
업데이트 2020-01-20 0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돗물 음용률 90%...누수율 3% 수준

 물의 나라 네덜란드의 거리와 공원 곳곳에는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음수대가 있다. 네덜란드의 수돗물 음용률은 90%에 이를 정도로 수돗물을 직접 마시는 일이 생활화돼 있다. 손에 생수병을 든 사람을 찾아보기 힘들다. 1인당 먹는샘물 소비량(25ℓ·2017년 기준)은 유럽 국가 중 최하위권으로, 우리나라(108ℓ)와 비교해 4분의1 수준이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헤이그의 상수도회사 뒤네아(Dunea) 물 생산지 입구에 있는 배수탑. 이곳 시민들이 처음 사구(모래언덕) 물을 끌어올려 사용하기 시작한 1874년 세워져 지금도 비상용 물을 저장하는 시설로 쓰이고 있다.
네덜란드 헤이그의 상수도회사 뒤네아(Dunea) 물 생산지 입구에 있는 배수탑. 이곳 시민들이 처음 사구(모래언덕) 물을 끌어올려 사용하기 시작한 1874년 세워져 지금도 비상용 물을 저장하는 시설로 쓰이고 있다.
 사실 네덜란드의 원수 질은 좋은 편이 아니다. 라인강 하류에 위치한 네덜란드는 라인강 지류의 강물을 암스테르담 등 대도시에 공급하는 물의 원수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수 자체가 결코 깨끗하지는 않다. 하지만 여러 단계에 걸친 정화 시스템과 우수한 관망 관리로 가장 흔한 소독제인 염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전하고 맑은 물을 공급하고 있다.

 네덜란드가 고품질의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 데는 지역별 식수를 담당하고 있는 상수도회사와 물연구기관인 KWR 간의 긴밀한 협력이 바탕이 됐다. KWR 국제연구·혁신팀 책임자인 제라드 반 덴 베르크 박사는 “수십년 동안 상수도회사들과 기술과 경험, 연구 결과 등을 공유하며 물 분야를 발전시켜 왔다”면서 “이것이 양질의 수돗물을 만드는 동력이 됐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의 10개 상수도회사와 벨기에의 가장 큰 상수도회사 더바테르흐룹(De Watergroep)이 연간 700만 유로(약 90억원)를 KWR과의 공동 연구 프로그램에 투자한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물 연구기관인 KWR의 제라드 반 덴 베르크(왼쪽) 박사와 로베르트 호프만 선임연구원이 네덜란드 상수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네덜란드 물 연구기관인 KWR의 제라드 반 덴 베르크(왼쪽) 박사와 로베르트 호프만 선임연구원이 네덜란드 상수도 관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KWR은 네덜란드 수돗물의 특징으로 ▲무(無)염소 ▲다중여과 ▲낮은 누수율 ▲자체 정화망 등 4가지를 꼽았다. 네덜란드는 전역에서 염소를 쓰지 않고 친환경적인 정화 시스템을 활용해 수돗물을 공급하고 있다. 염소를 쓰지 않기 때문에 물맛이 훨씬 좋다. 염소를 쓰면 사 먹는 생수에서는 나지 않는 소독약 냄새 때문에 거부감이 들 수밖에 없다.

 염소는 1900년대부터 콜레라나 페스트 등 수인성 전염병을 막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는 수돗물 소독제다. 네덜란드도 과거엔 염소를 사용했다. 하지만 1970년대 염소의 부산물로 나오는 총트리할로메탄(THMs)이 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자 새로운 방법을 찾기 시작했고, 현재는 염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식수를 공급한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는 어떻게 염소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을까. 전문가들은 여러 단계의 여과 시스템(multi-barrier system)을 꼽는다. 대표적인 것이 모래언덕 정화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해수면보다 육지가 낮은 이곳에서 제방 역할을 하던 해안가 모래언덕이 물을 여과해 박테리아를 제거한다는 사실을 알고 19세기부터 모래언덕을 물 공급에 이용해 왔다. 그러다 인구가 늘어나고 도심이 형성돼 상수도를 구축하게 되자 강물을 모래언덕으로 끌어와 정화해 공급하기 시작했다. 강물을 모래언덕에 지하수 형태로 저장했다가 공급하는 원리다.

로베르트 호프만 KWR 선임연구원은 “네덜란드에서는 미생물을 비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의 먹이가 되는 동화유기탄소(AOC) 자체를 없앤다”며 “만일 박테리아가 소독에서 살아남더라도 더이상 증식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을 예방하기 위해 염소를 쓸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네덜란드에서는 모래언덕을 비롯해 캐스케이드(폭포), 산소 처리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여러 단계에 걸쳐 물을 정화하며 역삼투, 완속 모래여과 또는 자외선(UV) 투사로 물을 소독한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과 그 일대 120만명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워터넷의 식수 공급 및 관리 총책임자인 레온 코어스는 “소비자 민원만큼 정확한 수질 모니터링은 없다. 우리는 120만명(고객 수)의 모니터링 요원을 두고 있는 셈”이라며 “물맛이 이상하거나 냄새가 난다는 등의 전화를 받으면 반드시 그 물을 채취해 실험실에 맡긴다”고 말했다.  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네덜란드 수도 암스테르담과 그 일대 120만명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워터넷의 식수 공급 및 관리 총책임자인 레온 코어스는 “소비자 민원만큼 정확한 수질 모니터링은 없다. 우리는 120만명(고객 수)의 모니터링 요원을 두고 있는 셈”이라며 “물맛이 이상하거나 냄새가 난다는 등의 전화를 받으면 반드시 그 물을 채취해 실험실에 맡긴다”고 말했다.
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물을 깨끗하게 정화하는 것만으로 물의 안전을 담보할 수는 없다. 상수관을 통해 가정의 수도꼭지까지 공급되는 과정에서 박테리아의 침입에 노출될 수 있고, 침전물이 쌓여 있는 경우 지난여름 인천 적수 사태처럼 녹물이 쏟아져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물의 안전성을 결정하는 것이 관의 상태다. 네덜란드는 수돗물 공급 과정의 손실률이 5.7%(2017년 기준)인데, 이는 관 청소(플러싱)나 소화전 물 사용량 등이 포함된 것으로 실제 누수율은 3% 미만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세계 최저 수준으로 그만큼 누수 틈새로 미생물이 침입해 물이 오염될 위험도 적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누수율은 10.5%다.

 좁은 관을 사용하고 일정한 유속을 유지하는 것 역시 관을 깨끗하게 유지·관리하는 비결 중 하나다. 이른바 자체 정화망(Self-cleaning network)이다. 반 덴 베르크 박사는 “대부분의 상수도회사가 물을 공급하기 위해 큰 관을 갖고 있는데, 네덜란드에서는 지름이 좁은 관을 써 유속을 빠르게 한다. 그러면 미생물막(바이오필름)뿐만 아니라 큰 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철이나 망간화합물 같은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큰 관에서보다 수압이 높고 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게 해 별도로 관을 세척하거나 자주 교체하지 않아도 오랫동안 깨끗한 관을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철저한 위생 관리는 네덜란드의 수준 높은 물 관리 시스템을 잘 보여 준다. 수도 암스테르담과 그 일대 120만명에게 식수를 공급하고 있는 워터넷(Waternet)의 식수 공급 및 관리 총책임자인 레온 코어스는 “누수 공사나 수도관 작업을 시작할 때는 매뉴얼에 따라 공사를 하는 사람과 장비 모두 철저하게 위생 상태를 점검하고, 공사가 끝나고 나면 다시 한번 수질 검사를 해 오염원이 없는지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물의 온도를 항상 25도 이하로 유지하는 것 역시 네덜란드의 고품질 수돗물 공급 비결 중 하나다. 반 덴 베르크 박사는 “일반적으로 물의 온도는 지하에서 11도 정도로 유지가 되고 가정의 수도꼭지로 전달될 때까지 25도 이상 넘으면 안 된다”며 “물의 온도는 청량감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온도가 올라가면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이 자랄 수 있기 때문에 물 회사들은 수온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델프트공대 교수이자 워터넷의 최고혁신책임자 얀 페터 반 데르 호크 교수는 “수자원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직원들 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델프트공대 교수이자 워터넷의 최고혁신책임자 얀 페터 반 데르 호크 교수는 “수자원 분야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직원들 교육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유럽 선진국들이 물 공급 시스템 못지않게 신경을 쓰는 부분이 물 자체를 보호하는 일이다. 우리가 마시는 물의 원천인 강과 하천의 수질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것이 안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근본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델프트공대 교수이자 워터넷의 최고혁신책임자인 얀 페터 반 데르 호크 교수는 “워터넷은 물을 정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을 전부 재활용하기 때문에 산업용수나 폐기물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며 “철가루 같은 것은 벽돌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역세정 뒤 나오는 물은 정화해 다시 세척용 물로 사용한다”고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네덜란드 헤이그 지역 수돗물을 담당하는 뒤네아(Dunea)의 직원 얍 모스(왼쪽)와 니콜 반 벨트호번이 사구공원 저수지에서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전처리된 강물은 이곳으로 와 2~3개월가량 불순물과 박테리아를 걸러 낸 뒤 정수장으로 이동한다. 2250헥타르 규모의 메이젠덜(Meijendel) 사구공원은 연간 760억리터의 물을 생산하는 뒤네아의 자연 정수장이자,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이기도 하다. 헤이그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네덜란드 헤이그 지역 수돗물을 담당하는 뒤네아(Dunea)의 직원 얍 모스(왼쪽)와 니콜 반 벨트호번이 사구공원 저수지에서 물이 정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전처리된 강물은 이곳으로 와 2~3개월가량 불순물과 박테리아를 걸러 낸 뒤 정수장으로 이동한다. 2250헥타르 규모의 메이젠덜(Meijendel) 사구공원은 연간 760억리터의 물을 생산하는 뒤네아의 자연 정수장이자,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이기도 하다.
헤이그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수돗물회사들이 정화 단계에서 활용하는 네덜란드의 모래언덕은 유럽연합(EU)의 생태보호구역인 ‘나투라(Natura) 2000’으로 지정돼 있다. 모래언덕 지역의 소유주이기도 한 상수도회사들은 수돗물 공급 회사일 뿐만 아니라 환경보호 회사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행정수도 헤이그가 있는 자이트홀란트주 130만명의 식수를 담당하고 있는 뒤네아(Dunea) 역시 이런 맥락에서 사구공원이 있는 지역을 국립공원으로 추진하고 있다. 뒤네아의 기업 마케팅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자인 니콜 반 벨트호번은 “우리는 이곳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해 이 지역을 모두가 협력해서 지켜야 할 땅이라는 걸 알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헤이그·암스테르담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