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경기연구원,“각종 위원회, 투명하게 구성해 역할·권한 확대해야“

경기연구원,“각종 위원회, 투명하게 구성해 역할·권한 확대해야“

김병철 기자
입력 2019-12-11 16:04
업데이트 2019-12-11 16: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기연구원청사 전경
경기연구원청사 전경
경기도와 시군 지자체가 자문·심의기관 성격의 각종 위원회를 내실 있게 운영하려면 투명하게 위원을 선정해 역할과 권한을 확대하고 위원회 논의 결과를 정책에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위원회 제도의 평가와 개편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보고서는 도와 31개 시군 소속 위원회 ‘위원’ 65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작년 12월 14∼18일) 결과와 도의 216개 위원회 업무를 담당하는 ‘운영 공무원’ 21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7월 25일∼8월 7일) 결과를 토대로 위원회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위원회 제도의 핵심역할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위원은 ‘새로운 정책 의제의 발굴 및 제언’(26.2%), ‘정책기획 단계 자문’(26.2%)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운영 공무원은 ‘정책 심의 및 의결’(36.1%), ‘정책기획 단계 자문’(29.6%) 순으로 답했다.

위원회가 기획, 집행, 평가 등 정책 과정에서 참여하고 있는 단계를 꼽아달라는 질문에는 ‘기획 단계’라는 응답이 위원(30.8%)과 운영 공무원(46.8%) 모두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위원은 ‘의제설정 단계’(21.5%)에서, 운영 공무원은 ‘실행 단계’(27.3%)에서 각각 위원회가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위원의 40.2%는 위원회의 책임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책임성 강화방안으로는 ‘투명하고 대표성 있는 위원 선정’(43.9%), ‘참여 위원 및 회의 결과 공개’(28.0%) 등을 꼽았다.

위원회 운영상 요구되는 제도 개선사항으로는 위원은 전체의 24.3%가 ‘논의 결과에 대한 정책 반영 노력 부족’을 꼽았다. 그다음으로 ‘위원회의 전문성 부족’(15.0%), ‘제한된 위원회의 역할 및 권한’(14.0%) 순으로 답했다.

운영 공무원의 경우 전체의 18.1%가 ‘제한된 위원회의 역할 및 권한’을 꼽았고 다음으로 ‘소극적 회의 개최와 저조한 참석률’(17.6%)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각종 위원회가 내실 있게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판단에 따라 경기도는 내년부터 유사·중복 위원회를 통합 운영할 방침이다.

비슷한 성격의 위원회 여러 개를 각각 운영하기보다 한 개의 거점 위원회를 만들어 산하에 분야별로 위원들을 배치해 함께 운영하도록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도는 각 위원회 설치 조례의 정비 작업 등을 거쳐 내년부터 통합 위원회 형태로 운영할 예정이다.

연구를 수행한 조성호 선임연구위원은 개선 방향으로 ▲논의 결과에 대한 충분한 정책반영과 위원회의 전문성 확보 ▲투명하고 대표성 있는 위원 선정 및 개방성 강화 ▲공공주도 민관협치형, 민간주도 협치형, 협의기구 중심형 민관협치 모델 도입 등을 제안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