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좋은 칭찬, 나쁜 칭찬/한승혜 주부

[2030 세대] 좋은 칭찬, 나쁜 칭찬/한승혜 주부

입력 2019-12-05 17:48
업데이트 2019-12-06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얼마 전 모임에서 오랜만에 만난 지인이 다가와 말했다. “어쩌면 그렇게 한결같아요?” 한결같다고? 의미를 알 수 없는 느닷없는 이야기가 당황스러웠던지라 어색하게 웃으며 되물었다. “네? 뭐가요?” 그러자 그는 덧붙였다. “아니, 애도 둘이나 낳았는데 너무 날씬해서. 왜 아줌마들 보면 보통 되게 뚱뚱하고 그렇잖아요. 근데 날씬하고 그래서 좋다고요.”

그 이야기를 들은 뒤부터 집에 돌아와서까지 한참 마음이 찜찜했다. 분명 그의 말대로 체중이나 체형에 있어서 나는 꽤나 한결같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출산 전이나 결혼 전과 비교해서 큰 차이가 없다. 기본적으로 살이 잘 붙지 않는 체질이며, 군것질 등 먹는 행위를 그다지 즐기지 않기도 하고, 평소 가벼운 운동을 좋아하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일 것이다.

그런데 만약 그렇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체중이 늘어났다거나, 체형이 달라졌다면 그는 나를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누군가 날씬한 다른 이를 칭찬하는 과정에서 나 역시 ‘뚱뚱한 아줌마’ 1인이 돼버리지 않았을까. 결국 칭찬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마음이 그토록 불편했던 이유는, 칭찬 너머의 어떤 ‘시선’이 느껴졌기 때문이었다.

사실 이런 시선은 우리 사회에서 굉장히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어떤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가령 이런 말들. “애엄마 같지 않게 예뻐요.”, “나이에 비해 굉장히 젊어 보이세요.”, “누구씨는 다른 여자들 같지 않게 개념이 있군요.”, “대학생치고 사고가 참으로 성숙하네요.”, “지방 사람인데도 참 세련됐어요!” 왜 어떤 칭찬은 듣고 나서 그토록 기분이 나쁜가를 곰곰이 생각해 보았더니, 모두 상대를 일방적으로 ‘평가’하는, ‘비교’를 전제로 특정한 가치판단이 개입된 표현이었다.

이런 이야기를 하면 어떤 사람들은 칭찬도 마음대로 못하냐고 화를 낼지도 모른다. 무서워서 무슨 말을 못하겠다고 불쾌해할지도 모른다. 그래도 선의로 한 말인데 그냥 좀 넘어가면 안 되느냐고 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나는 오히려 그런 이들에게 묻고 싶다. 왜 누군가를 칭찬하는 것이 그 사람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행위가 돼야만 하냐고, 다른 누군가를 조롱하거나 비하하지 않고는 칭찬을 못 하냐고, 의도가 좋다면 뭐든 용납돼야만 하냐고.

몇 년 전부터 ‘옳고 바른 것’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옳음에 대한 강박’을 비판하는 목소리들이 있다. 그로 인해 표현의 자유가 줄어들고 하고 싶은 말도 마음대로 못한다고 말이다. 물론 ‘옳음’에 대한 기준치가 높아지면서 과거 생각 없이 구사하던 많은 표현들을 오늘날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됐다는 것은 맞는 이야기다. 그러나 과연 칭찬을 하고 싶은 욕구가 그 대상이 되는 사람의 기분보다 더 중요한 것일까? 듣고 나서 기분이 나빠지는 칭찬, 듣고 나서 웃음은커녕 불쾌함만을 남기는 유머를 반드시 표현해야만 하는 까닭을 나는 아무리 생각해 봐도 모르겠다.
2019-12-06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