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살처분 서두르다…” 돼지 핏물에 오염된 임진강 지류

“살처분 서두르다…” 돼지 핏물에 오염된 임진강 지류

입력 2019-11-12 11:55
업데이트 2019-11-12 1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천군 “시간 3∼4일만 더 줬어도 사고 없었을 것”

돼지 핏물로 오염된 임진강 지류의 한 개천. 연천임진강시민네트워크
돼지 핏물로 오염된 임진강 지류의 한 개천. 연천임진강시민네트워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무리하게 살처분 작업을 진행하다가 트럭에 쌓아둔 5만 마리에 가까운 돼지 사체에서 핏물이 새어 나와 임진강 지류 하천이 붉게 물드는 오염 사고가 발생했다.

1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10∼11일 연천군이 마지막 남은 돼지 살처분을 진행하면서 매몰 처리에 쓸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제작이 늦어지자 4만 7000여마리 돼지 사체를 중면 민간인출입통제선(민통선) 안에 있는 군부대 내 매몰지에 트럭에 실은 채 쌓아뒀다.

그러나 10일 많은 비가 내리며 돼지 사체에서 핏물이 빗물과 함께 새어 나와 인근 하천을 붉게 물들이는 등 침출수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침출수는 임진강 지류 마거천과 연결된 실개천으로 흘러 100~200m 구간이 눈으로도 핏물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붉게 물들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급하게 오염수 펌핑 작업과 펜스를 설치해 침출수가 더는 임진강에 흘러들지 않도록 조치했지만 일부는 이미 마거천을 통해 임진강으로 유출된 상태다. 사고가 난 매몰지는 임진강과는 10㎞, 임진강 상류 상수원과는 직선거리로 8㎞가량 떨어져 있다.

상수원을 관리하는 연천군맑은물사업소는 마거천과 임진강 일대 물을 채수해 수질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경기도와 연천군은 상수원과는 멀고 이미 살처분 과정에 돼지 사체를 소독 처리했기 때문에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침출수 유출 사고는 시간에 쫓겨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한 것이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경기도와 연천군은 지난달 12일부터 연천지역 돼지 16만 마리를 수매 또는 도태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도태 처리 대상 14만 마리는 랜더링 방식(사체를 고온멸균 처리한 뒤 기름 성분을 짜내 재활용하고 잔존물을 퇴비나 사료원료로 활용)으로 처리하거나, 살처분한 뒤 2000~3000마리를 처리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FRP)에 담아 매몰한다.

이전 구제역 사태로 매몰지가 많지 않은 연천군은 랜더링 위주로 작업을 진행하다가 농림축산식품부의 독촉에 밀려 무리하게 살처분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천군 관계자는 이 매체에 “용기가 제작된 상태에서 살처분한 뒤 용기에 담아 매몰을 해야 하는데 용기 제작과 살처분을 동시에 진행하다 보니 용기 제작이 늦어져 살처분한 돼지 사체를 쌓아둘 수밖에 없다”며 “시간을 3∼4일만 더 줬어도 침출수 유출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 관계자도 “살처분을 서둘러 끝내려다 빚어진 일”이라며 “작업을 빨리 끝내려니 두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고 덧붙였다.

사고가 난 매몰지에는 아직 2만여 마리 돼지 사체가 쌓여 있으며 13일까지 작업을 진행해야 매몰처리를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침출수 유출 사고와 관련해 매몰 규정을 지켰는지 확인할 방침이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