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In&Out] 케이코미디가 케이팝을 따라갈 수 있을까/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글로벌 In&Out] 케이코미디가 케이팝을 따라갈 수 있을까/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입력 2019-10-22 17:28
업데이트 2019-10-23 01: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알파고 시나씨 아시아엔 편집장
얼마 전 ‘개그 콘서트’에 출연자로 합류하게 되었다. “기자가 무슨 개그를 하느냐”고 살짝 문제제기를 하실 수 있다. 최근 언론의 모습이 개그 콘서트와 별 차이가 없어 기자로서 큰 부담을 안 느꼈다.

2016년 여름 터키 정치 변동으로 갑자기 해직 기자가 되어 생계를 극복하려고 여러 가지 도전을 했었는데, 그중에 하나가 코미디였다. 2016년 9월 처음으로 대학로에서 스탠드업 코미디 공연을 했다. 2018년에 아시아엔에 취직해 다시 기자로 복직했지만, 그때를 계기로 꾸준히 스탠드업 코미디 공연을 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한 말은 기자가 개그 콘서트에 왜 나오는지에 대한 고해성사가 아니다. 오히려 이번 칼럼에서 한국 코미디에 대해서 몇 마디 하고 싶은데 “당신이 뭘 아는데 코미디에 대해서 말을 하냐”는 지적에 대한 사전 대비이다.

한국은 문화 콘텐츠인 한류로 세계 시장에서 맹활약을 하고 있지만 한국 코미디는 한류 열풍을 따라잡지 못한 상황이다. 왜냐하면 이미 내부적으로 나름대로의 문제들을 겪고 있는데 그걸 벗어나 국제적으로 건승하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몇 주 동안 개그 콘서트에 출퇴근하게 된 덕분에 이 문제를 더 가까이 보게 되었다. 제일 먼저 느꼈던 것은 지상파 방송에서 코미디를 하는 공채 희극인들과 작가들이 대단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간접 광고 문제와 방송통신위원회 규제 때문에 코미디가 다룰 수 있는 소재가 최근 들어 너무나 줄어들었는데도 이들이 아직도 매주 웃음을 끌어당길 수 있는 그 구멍들을 잘 찾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상파라는 좁은 틀에서 코미디를 하기가 힘들다 보니 많은 코미디언이 자기네 나름대로 탈출구를 만들고 있다.

하나는 인터넷방송으로 관객과 직접 만나는 것이다. 사실 농담은 코미디언과 그 코미디언의 스타일을 좋아하는 관객 사이에 존재한다. 그러나 모든 시청자들이 나의 스타일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방송국에서 코미디를 펼치면 나름대로 통제를 받는 느낌이 든다. 그러다 보니 유튜브 활동이 코미디언들에게 신의 한 수가 된 것이다.

또 다른 탈출구는 스탠드업 코미디다. 2년 전에 유병재가 기획한 공연이 바람을 일으켰다. 그의 공연 이후에 일단 막내 공채 개그맨부터 셀럽 개그맨들까지 이 유행에 합류하게 되었다. 최근 가장 대표적인 예는 개그우먼 박나래이다. 그동안 콩트 방식으로 코미디를 했던 박나래도 넷플릭스에서 스탠드업 코미디에 도전했다. 이러한 현상을 무시하지 못하는 KBS도 역시 스탠드업 코미디 쇼라는 새로운 방송을 기획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코미디언들의 지위다. 한국에서는 연기 경험이 없는 모델이나 가수들도 그다지 어렵지 않게 배우가 돼 영화에 진출할 수 있지만, 일종의 연기자인 코미디언들의 영화 진출은 그렇게 쉽지 않다. 한국의 예술 및 예능 시장에서 코미디언들의 지위가 모델이나 가수에 비해 낮다 보니 새롭게 입문하는 코미디언들의 장기 목표는 연기자보다 MC로 데뷔하는 것이다.

다른 나라 코미디언들의 지위는 한국처럼 낮지 않다. 외국 코미디언들은 예술·예능 시장에서 톱스타의 위치에 있다. 외국 코미디언들은 자본을 동원해 영화를 제작하는 등 적극적으로 예술활동을 한다. 즉, 외국에서는 최고의 코미디언들이 최고의 영화감독 겸 작가로도 활동한다. 한국 코미디언들도 현재의 영화 시장에 의존하지 않고 협동조합 방식으로 직접 기획한 영화에 공채 코미디언들을 캐스팅해 영화를 제작하고 시장을 개척했으면 좋겠다.

의사소통의 장애를 없애는 것이 웃음이다. 그러다 보니 모든 나라에서 웃음은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 웃음을 잃은 나라에서는 울음소리가 더 많이 들리게 된다. 한국 코미디가 국내의 문제를 이겨내고 케이팝처럼 세계적인 위치에 오르길 바란다.
2019-10-23 3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