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 거는 기대/김성우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겸임교수

[기고]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 거는 기대/김성우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겸임교수

입력 2019-10-15 17:20
업데이트 2019-10-16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성우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겸임교수
김성우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겸임교수
지난달 14일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원유시설 2곳에 대한 드론 공격으로 사우디는 하루 원유 생산량의 절반이 감소했다. 브렌트유 기준으로 배럴당 60달러 수준이던 유가가 피폭 후 72달러까지 치솟았다가 예상보다 빠른 복구 소식에 다시 65달러로 내려갔다. 월가는 불확실성에 술렁였다.

정유사 수입 원유 중 약 30%가 사우디산인 우리나라가 직면한 리스크의 속살은 에너지 수입 의존도(95%)가 너무 높다는 점이다. 장기적으로 이를 해결하지 못하면 외생변수에 의해 계속 흔들릴 수밖에 없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우선 재생에너지 공급을 늘려야 하는데 날씨에 의존하는 재생에너지에 대해 국내에서는 여전히 시각차가 존재한다. 결국 핵심은 경제성인데 최근 시장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유럽은 물론이고 대만 해상풍력 및 중국 태양광까지도 보조금 없는 시장경쟁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다. 프랑스 에너지그룹인 엔지도 보조금이 필요 없는 기술에 10억 유로를 투자한다고 한다. 이는 재생에너지가 경제성 측면에서도 승산이 있다는 시장의 시그널이다.

우리나라 경북 및 제주 등은 바람이 세고 전남은 햇빛이 강하며 바다나 염해농지 등 활용할 땅도 작지 않다. 이에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3.5%에서 20%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수립했다. 사회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수요 감축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기업, 상점, 가정, 개인 모두 에너지 사용을 줄여야 한다. 공급이 똑똑해도 수요관리가 안 되면 소용이 없다.

우리는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국토에서도 1960~1980년대 글로벌 흐름을 미리 읽고 석유화학에 선투자해서 주력 산업으로 키워 낸 경험이 있다. 당시에도 유가 변동은 통제할 수 없는 외생변수였지만 우리는 이를 산업 육성의 기회로 삼았다.

사우디 석유시설 피격처럼 통제하지 못하는 외생변수 영향이 무기력하게 궁금한 현 시점이 다시 한번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계기다. 마침 이달 말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재생에너지총회에서는 세계 주요 재생에너지 기업, 국제기구, 학계 대표 등이 참석해 열띤 토론을 벌인다. 이를 계기로 국내 에너지 전환의 도약을 기대해 본다.
2019-10-16 3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